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예술인 창작환경, 얼마나 달라졌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예술인 창작환경, 얼마나 달라졌나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 최첨단 장비 지원부터 권리침해 피해 구제까지…달라진 예술인 창작환경 하단내용 참조

“예술인 창작환경,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창의적 영감으로 사회와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존재, ‘예술인’.
최근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는 케이(K)-컬처 역시 우리 예술인들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이런 예술인들의 창작환경을 만들기 위해 달려온 지난 2년, 지금의 모습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 예술인 복지정책 기본계획

향후 5년간의 예술인 복지정책의 비전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예술인 복지정책 기본계획’이 역대 정부 최초로 수립되었습니다.(’23.1.19.)
일회적인 시혜성 지원에서 벗어나 복지-창작 선순환을 유도하는 사회적 투자로, 창작활동을 유지시키는 안전망으로 작동합니다.

# 아트코리아랩

예술인과 예술기업의 창·제작 실험부터 시연·유통까지 예술과 기술을 활용한 창업주기 전반을 종합 지원하는 ‘아트코리아랩’이 문을 열었습니다.(’23.10.25.)
분야 간 융합 실험 가능한 창·제작 스튜디오는 물론, 누구나 첨단 장비를 활용하도록 기술 전문가가 상주해 예술가와 예술기업의 자유로운 실험이 가능합니다.

# 예술인 권리보장센터

예술인을 권리침해로부터 보호하는 통합 창구인 ‘예술인 권리보장센터’를 개소했습니다.(’23.12.19.)
피해 상담·신고부터 피해구제 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예술인들의 권리보호 교육과 서면계약 체결 지원 등 불공정한 관행 개선도 뒷받침합니다.

# 모두예술극장

우리나라 최초의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이 문을 열었습니다.(’23.10.24.)
공간 구성과 시설, 서비스 등의 접근성 수준을 높여 장애인·비장애인 누구나 향유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장애예술인과 단체에 우선 대관하고, 사용료를 할인해 창작과 발표기회를 늘렸습니다.

# 청년 교육단원

상대적으로 실무 경력을 쌓기 어려운 청년 예술인들이 국립단체의 무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청년 교육단원’을 선발했습니다.(’24.4.25.)
329명의 단원들이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극단 등에서 최고의 실무 교육과 함께, 꿈의 무대에 서고 있습니다.

# 청년 복합예술벨트

서울 당인리 화력발전소 폐설비를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로 새로 단장하고, 홍대 앞 거리와 연계해 청년예술 창작· 향유 중심지인 ‘복합예술벨트’로 육성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청년 예술인이 성장하고 지역 사회 문화가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