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유심 재고 입고' 문자에 속아 설치한 앱이 스미싱?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유심 재고 입고' 문자에 속아 설치한 앱이 스미싱?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 유심 해킹 스미싱 사례와 예방법 안내 하단내용 참조

'SKT 유심 재고 도착 알림' 문자를 받고, URL을 눌러 본인인증하라는 안내에 따라 접속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링크는 악성 앱 설치로 연결되는 스미싱 수법이었어요.

이런 피해,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 의심 문자 수신 시
· 출처 미확인 링크 및 앱 클릭·설치 금지.
·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또는 카카오톡 채널 '보호나라' 내 스미싱 확인서비스로 스미싱 여부 판별·확인, 신고.

■ 스미싱 문자 확인 시
· 문자 수신 화면에서 스팸 신고 및 즉시 삭제.

■ 악성앱 설치여부 주기적 점검
· 모바일 백신(V3 등).
· 경찰청 시티즌코난(안드로이드), 피싱 아이즈(iOS) 등을 활용.

■ 원격제어 앱 설치 주의
요구 시 의심하고 중단.

정부기관·금융회사는 전화나 문자로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금융피해 예방
· 금융결제원 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 서비스 신청.
- 금융회사 영업점 방문.
- 어카운트인포 앱.
-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 금융결제원 비대면 계좌 개설 안심차단서비스 신청.

· 금융감독원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에 '개인정보노출자' 등록. 

■ 금융피해 발생 시
① 이체은행 고객센터, ☎112, 금융감독원 ☎1332 신고.
② 은행 고객센터, 금융감독원 등 해당 계좌 지급 정지 요청.
③ 경찰서 방문 → 사건사실확인원 발급.
④ 이체은행에 피해구제 신청.

■ 명의도용 통신피해 발생 시
① 통신사 고객센터 → 추가 회선 이용 정지 요청 + 명의도용 접수.
② 관할 경찰서 → 사고내역 신고 후 사실확인서 발급.

<미해결 시>
· 통신민원조정센터 ☎080-3472-119 또는
· 통신분쟁조정위원회 ☎142-246 에 상담 신청.

<명의도용 통신피해 예방>
· 엠세이퍼(명의 도용방지서비스 > 가입제한 서비스 신청)

■ 소액결제 피해 시
① 통신사 고객센터 → 소액결제 확인서 발급.
② 관할 경찰서 → 사고내역 신고 후 사실확인서 발급.
③ 통신사 또는 결제대행업체 →피해보상 요청.

<미해결 시>
· 통신민원조정센터 ☎080-3472-119 또는
· 통신분쟁조정위원회 ☎142-246 에 조정 신청.

■ 개인정보 유출 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털린 내정보 찾기 서비스에 유출여부 확인 및 안내에 따른 후속조치.
-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 피해 발생 시
· 즉시 ☎112 신고 및 가까운 경찰서 방문.

<피싱·스미싱 조회 및 제보>
·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센터 ☎1566-1188를 통해 의심번호 조회 및 제보.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