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이차전지 하단내용 참조

■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전기에너지원으로 사용되도록 설계된 충전식 배터리.
반복 사용이 가능해 친환경적이며, 스마트폰, 전기차 등 다양한 곳에 쓰임.
* 출처: 표준용어사전(국가기술표준원)

(예문)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 산업에 활력 제고와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이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5.01.14)

■ 리튬이온 & 전고체 배터리
(lithium ion battery & solid-state battery)

이차전지의 대표적인 종류.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수명이 길고 방전에 강해 휴대용 전자 기기에 널리 쓰이고,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안전성과 효율이 높아 전기차 등 차세대 산업에 활용됨.
* 출처: 전력용어집(한국전력공사)

(예문)
산업부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계를 넘는 차세대 기술,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4.05.19)

■ 양극재 & 음극재
(cathode·anode materials)

이차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핵심 소재.

양극에는 니켈, 코발트 등, 음극에는 흑연 등이 사용되며, 양극재의 성능은 이차전지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음극재의 성능은 충전 속도와 수명을 좌우함.
* 출처: 우리말샘(국립국어원)

(예문)
산업부는 이차전지 산업에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중요한 양극재와, 충방전 가능 횟수를 늘리는 음극재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1.07.1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