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 하단내용 참조

오늘의 미션!

지역사회 통일 종합 플랫폼 '통일+센터'를 소개하라!

지역별로 흩어진 통일 관련 인프라를!

한 곳에 모아 소통하는 공간!

■ '통일+센터'는?
지역 내 하나센터, 통일관 등 통일 인프라를 통합·연계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참여와 소통을 통해 통일 공감대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 참여·소통.
강연 등 통일 관련 콘텐츠 제공.

· 연계·협업.
기관 협업 및 프로그램 운영.

· 네트워크.
민간-정부-지자체 통일 네트워크 구축.

→ 대국민 통일 공감대 형성!

2018년 인천센터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전국 권역별로 설치를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어요.

■ 지역사회 '작은 통일부'
통일+센터에서 다양한 모든 국민께 더 많은 통일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5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국민 참여·소통)
지역 맞춤형 통일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

(남북한 주민 통합)
남북한 주민 소통 프로그램 운영, 탈북민 정착지원 등.

(통일·북한 자료)
지역 주민들을 위한 통일·북한자료 대여 등.

(통일 공감대 형성 및 확산)
교육기관 연계 통일교육 프로그램 발굴 및 운영 등.

(지역 수요 대응)
남북교류협력 관련 상담·지원 등.

■ 권역별 '통일+센터' 위치
현재 호남권, 인천, 강원권 3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경기·충청권이 추가 개소 될 예정입니다.

- 경기센터('25.7월 개관)
- 강원센터
- 인천센터
- 충청센터('25.11월 개관)
- 호남센터
센터별 지역밀착형 프로그램이 운영되니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확인하세요!

■ 해외 '통일 +센터' 설치
통일에 대한 국제적 지지와 공감대 확산을 위한 「해외 통일+센터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설치 필요성.
- 입지 타당성.
- 주요 역할.
- 제도화 방안 등.

지역사회의 작은 통일부인 통일+센터를 통해 국내외 지역마다 균형있게 통일기반을 조성해 나가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