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하단내용 참조
  • 핫이슈 산업 용어 데이터센터 하단내용 참조

■ 데이터센터(Data Center)
대규모 데이터의 저장·관리·배포·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시설로 오늘날 AI 구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부상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24시간 무정전으로 가동되며, 습기·온도·전력 등으로부터 민감한 전산장비를 보호하는 환경을 갖춤
*출처: 정보통신용어사전, ICT 시사상식 2023(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예문)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기자재가 우리 수출의 핵심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4.12.02)

■ 액침냉각(Liquid immersion cooling)
서버 등의 장비를 전기 전도성이 없는 특수 액체에 담가 냉각하는 기술로,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중 성장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유형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의 중요도는 더욱 높아지는 추세임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4.12.02)

(예문)
산업부는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육성을 위해 액침냉각을 이용한 데이터센터 열관리 기술 개발·실증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산업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 발표 자료(2025.01.22.)

■ 칠러(Chiller)
데이터센터 내부 장비가 과열되지 않도록 파이프를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는 장치
액침냉각과 더불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임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4.12.02.)

(예문)
냉각시장은 2030년까지 172억 달러로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며, 그 중, 칠러나 액침냉각 분야는 상대적 고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4.12.02)

■ PUE(Power Usage Effectiveness): 전력효율지수
데이터센터 총 전력 사용량에서 IT 장비에 사용되는 전력량 비중을 나타낸 값으로, PUE=(총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IT 장비 전력 소비량) 공식으로 계산됨
사용 전력이 다른 곳에 소모되지 않고 IT 장비로 집중되어야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PUE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음을 나타냄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4-2038), ICT 시사용어 300(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예문)
그린데이터센터 인증 등 에너지효율(PUE) 향상 전망을 반영하여, 중장기적으로 데이터센터 확산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4-203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