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공무직 합리적 임금기준 마련 위해 노·정 함께 논의 중

2022.03.17 고용노동부
인쇄 목록

고용노동부는 “공무직 임금기준은 관계부처, 노동계, 전문가 등과의 충분한 논의를 토대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면서 “공무직 근로자의 합리적인 임금기준 마련을 위해 노·정이 함께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3월 17일 이데일리 <文정부 작품 공무직 尹에 뒷감당 떠 넘겨>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 문재인 정부 출범과 동시에 추진한 공공부문 정규직화 정책으로 20만명 가량 늘어난 공공부문 무기계약직(공무직)에 대한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을 윤석열 정부에서 지게 됐다. 공무직에 대한 임금논의가 현 정부 임기 한달여 남긴 이제야 시작됐기 때문이다.

ㅇ (중략) 정부는 공공부문 정규직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국민 부담 최소화를   원칙으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정규직 전환자의 임금체계를 직종별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직무급) 취지를 반영할 수 있게 설계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차기정부가 마무리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후략)

[고용부 설명]

□ 정규직 전환자에 대한 인사 관리, 임금 기준 등을 마련하기 위해 공무직위원회를 설립(‘20.3월)한 이후 공무직 임금제도에 대해 신속히 논의할 수 있도록 작년 4월부터 임금의제협의회*를 별도로 구성하여 논의를 시작하였음

* 관계부처, 노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

□ 공무직 임금기준은 이해관계가 다양하고 재정부담도 수반되는 과제로서 해외사례*를 비추어 볼 때도 단기에 추진하기 보다는 관계부처, 노동계, 전문가 등과의 충분한 논의를 토대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에,

* (해외사례) ▲영국(97년~07년), ▲독일(89년~03년), ▲미국(65년~72년) 

ㅇ 작년 하반기부터 전문가TF 구성·운영방식, 실태조사 대상, 방법 등 조사계획을 협의·조율한 후에 금년 2월 연구용역 발주를 통해 실태조사에 본격 착수하였음

* 공무직위원회 산하 임금의제협의회 구성(‘21.4월) → 「공무직 임금 및 수당기준 마련 계획」확정(‘21.8.31) → 전문가TF 구성(‘21.11월~) → 「공무직주요직종 임금실태 조사 및 분석」연구용역(‘21.2월~)

□ 향후 공무직 임금기준이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임금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임

문의 : 고용노동부 공무직기획단 지원기반과(044-202-7823)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