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2026년 행정안전부 예산안

국민 행복을 최우선으로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과제 중점 투자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 행정안전부 예산안(2025.9.2.)
■ 2026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안 76조 4,426억 원 편성
· 지방교부세- 69조 3,459억 원
· 인건비 및 기본경비- 4,302억 원
· 사업비- 6조 6,665억 원(전년대비 43.8%↑)
<2026년 사업비 예산편성 현황- 총 6조 6,665억 원>
· AI 민주정부 및 정보화- 8,649억 원
· 국민 안전- 2조 5,197억 원
· 자치발전·균형성장- 2조 5,921억 원
· 사회통합 등- 6,898억 원
■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 행정업무·공공서비스에 AI 도입
[세계 최고 AI 민주정부 구현]
· 행정업무 효율화를 위해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구축
· 정부·지자체가 중복투자 없이 신속하게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AI 서비스의 기획-개발-운영-고도화 전 단계 지원을 본격 추진
-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 ('26 신규) 206억
-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현: ('25) 54억→('26) 74억
- AI 행정업무 적용: ('25) 42억→('26) 187억
· 개인상황 변화에 따라 국민이 놓칠 수 있는 정부혜택을 알아서 챙겨주는 혜택알리미 서비스에 AI를 적용해 강화
· 복잡한 신청절차를 밟지 않아도 일상언어로 AI Agent에 요청하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서비스를 새로 도입
- 혜택알리미 서비스 구축: ('25) 53억→('26) 56억
- AI Agent-공공서비스 연계: ('26 신규) 8억
· 민간 인공지능 기업들이 AI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핵심 공공데이터들을 AI가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확대
- 공공데이터 구축 개방 확대 : ('25) 264억→ ('26) 305억
■ 첨단기술 활용 재난 예측·감시체계 구축 재해예방·복구 지원 확대
[국민 안전을 위한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
· 심각해지는 이상기후에 대응하여 AI·드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 예측·감시체계를 구축
· 국민안전산업펀드를 새롭게 조성해 첨단 기술기반의 국민안전산업 성장을 촉진
- 재난안전 AI 관제체계 및 데이터 구축: ('25) 51억→ ('26) 124억
- 재난안전 드론 상황실 연계: ('26 신규) 34억
- 국민안전산업펀드 조성: ('26 신규) 50억
※최초 200억(행안부 50억+경찰청 50억+민간·지자체 100억)
· 집중호우·태풍 등 재해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비사업을 확대
· 재난피해주민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피해복구비 증액
- 재해위험지역 정비: ('25) 8,742억(추경 9,443억)→ ('26) 1조 488억
- 재난대책비: ('25) 3,600억(추경 1조 200억)→('26) 1조 100억
■ 골목상권·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방소멸 대응 주민이 중심이 되는 지방자치 지원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 소상공인 등 골목상권 활성화 및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국비지원을 확대
· 1조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방소멸 극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에 투입
·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소득·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소멸 등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마을기업 지원 확대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25 추경) 1조→('26) 1조 1,500억
- 지방소멸대응기금: ('25) 1조→('26) 1조
- 마을기업 육성사업: ('25) 17억→('26) 53억
· 접경지역, 섬 등 특수한 지리적 여건으로 소외된 지역들을 위해 지역주민의 기초생활 기반 확충 및 균형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
- 특수상황지역개발: ('25) 1,942억→('26) 1,994억
-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25) 618억→('26) 799억
- 접경권발전지원: ('25) 456억→('26) 533억
-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25) 115억→('26) 153억
-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25) 85억→('26) 107억
· 주민이 중심인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민관이 함께 지역공동체 문제를 해결하는 거버넌스 협력체계를 구축·확산
- 지역주도 민관협력체계 구축 및 확산: ('26 신규) 25억
- 다부처 협업 지역역량성장거점 활성화: ('26 신규) 17억
■ 따뜻한 공동체 구현을 위한 자원봉사 활성화 과거사 극복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사회통합 및 과거사 해결]
· 기후·환경·재난 등 사회문제 해결형 자원봉사 인재 육성 지원을 확대
· 지역사회 주체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지역별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추진
- 자원봉사 활성화 : ('25) 133억→('26) 178억
·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의 유해를 안장하여, 유가족의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기 위한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
· 일제 강제동원 관련 피해자 추도 및 국민 역사의식 고취를 위한 사업을 추진
·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운영비 지원을 확대하는 등 과거사 극복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
-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희생자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 ('26 신규) 184억
- 대일항쟁기강제동원조사지원 및 운영: ('25) 77억→('26) 86억
-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조성: ('25) 20억→('26) 32억
국민 행복을 최우선으로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과제 중점 투자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 행정안전부 예산안(2025.9.2.)
■ 2026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안 76조 4,426억 원 편성
· 지방교부세- 69조 3,459억 원
· 인건비 및 기본경비- 4,302억 원
· 사업비- 6조 6,665억 원(전년대비 43.8%↑)
<2026년 사업비 예산편성 현황- 총 6조 6,665억 원>
· AI 민주정부 및 정보화- 8,649억 원
· 국민 안전- 2조 5,197억 원
· 자치발전·균형성장- 2조 5,921억 원
· 사회통합 등- 6,898억 원
■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 행정업무·공공서비스에 AI 도입
[세계 최고 AI 민주정부 구현]
· 행정업무 효율화를 위해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구축
· 정부·지자체가 중복투자 없이 신속하게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AI 서비스의 기획-개발-운영-고도화 전 단계 지원을 본격 추진
-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 ('26 신규) 206억
-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현: ('25) 54억→('26) 74억
- AI 행정업무 적용: ('25) 42억→('26) 187억
· 개인상황 변화에 따라 국민이 놓칠 수 있는 정부혜택을 알아서 챙겨주는 혜택알리미 서비스에 AI를 적용해 강화
· 복잡한 신청절차를 밟지 않아도 일상언어로 AI Agent에 요청하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서비스를 새로 도입
- 혜택알리미 서비스 구축: ('25) 53억→('26) 56억
- AI Agent-공공서비스 연계: ('26 신규) 8억
· 민간 인공지능 기업들이 AI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핵심 공공데이터들을 AI가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확대
- 공공데이터 구축 개방 확대 : ('25) 264억→ ('26) 305억
■ 첨단기술 활용 재난 예측·감시체계 구축 재해예방·복구 지원 확대
[국민 안전을 위한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
· 심각해지는 이상기후에 대응하여 AI·드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 예측·감시체계를 구축
· 국민안전산업펀드를 새롭게 조성해 첨단 기술기반의 국민안전산업 성장을 촉진
- 재난안전 AI 관제체계 및 데이터 구축: ('25) 51억→ ('26) 124억
- 재난안전 드론 상황실 연계: ('26 신규) 34억
- 국민안전산업펀드 조성: ('26 신규) 50억
※최초 200억(행안부 50억+경찰청 50억+민간·지자체 100억)
· 집중호우·태풍 등 재해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비사업을 확대
· 재난피해주민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피해복구비 증액
- 재해위험지역 정비: ('25) 8,742억(추경 9,443억)→ ('26) 1조 488억
- 재난대책비: ('25) 3,600억(추경 1조 200억)→('26) 1조 100억
■ 골목상권·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방소멸 대응 주민이 중심이 되는 지방자치 지원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 소상공인 등 골목상권 활성화 및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국비지원을 확대
· 1조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방소멸 극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에 투입
·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소득·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소멸 등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마을기업 지원 확대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25 추경) 1조→('26) 1조 1,500억
- 지방소멸대응기금: ('25) 1조→('26) 1조
- 마을기업 육성사업: ('25) 17억→('26) 53억
· 접경지역, 섬 등 특수한 지리적 여건으로 소외된 지역들을 위해 지역주민의 기초생활 기반 확충 및 균형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
- 특수상황지역개발: ('25) 1,942억→('26) 1,994억
-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25) 618억→('26) 799억
- 접경권발전지원: ('25) 456억→('26) 533억
-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25) 115억→('26) 153억
-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25) 85억→('26) 107억
· 주민이 중심인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민관이 함께 지역공동체 문제를 해결하는 거버넌스 협력체계를 구축·확산
- 지역주도 민관협력체계 구축 및 확산: ('26 신규) 25억
- 다부처 협업 지역역량성장거점 활성화: ('26 신규) 17억
■ 따뜻한 공동체 구현을 위한 자원봉사 활성화 과거사 극복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사회통합 및 과거사 해결]
· 기후·환경·재난 등 사회문제 해결형 자원봉사 인재 육성 지원을 확대
· 지역사회 주체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지역별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추진
- 자원봉사 활성화 : ('25) 133억→('26) 178억
·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의 유해를 안장하여, 유가족의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기 위한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
· 일제 강제동원 관련 피해자 추도 및 국민 역사의식 고취를 위한 사업을 추진
·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운영비 지원을 확대하는 등 과거사 극복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
-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희생자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 ('26 신규) 184억
- 대일항쟁기강제동원조사지원 및 운영: ('25) 77억→('26) 86억
-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조성: ('25) 20억→('26) 32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