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그린뉴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그린뉴딜은?
그린뉴딜은 저탄소 사회를 지향하는 ‘그린’과 정부재정투자로 구조 전환을 추구하는 ‘뉴딜’로 설명할 수 있어요.
그린뉴딜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저탄소 사회·경제로의 전환 정책입니다.

왜 필요한가요?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경제의 과감한 녹색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 탄소중립 사회를 지향점으로 하는 그린뉴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무엇을 하나요?
- 생활환경의 녹색전환 :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공간을 녹색으로 바꿔요.
-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서둘러요.
- 혁신형 녹색산업 기반 조성 : 저탄소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요.
- 소외 계층 보호 : 녹색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외 계층과 영역을 보호해요.

3대 분야 8대 프로젝트
1. 도시 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①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② 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③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2.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산
④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⑤ 에너지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⑥ 전기차 수소차 등 그린모빌리티 보급 확대

3.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⑦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녹색산단 조성
⑧ R&D·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어떻게 하나요?
- 그린모빌리티 확대
· 미래차 133만대 보급(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
· 충전인프라 (전기충전기 4.5만대, 수소충전기 450대, 수소생산기지 등) 확충
-녹색산업혁신
· 1.9조원 규모 녹색 융자 공급 5대 선도분야 ‘녹색 융합 클러스터’ 5개소 구축
① 청정대기, ② 생물소재, ③ 수열에너지, ④ 전기차 폐배터리, ⑤ 자원순환
· 스마트 그린산단 10개 구축
· 클린팩토리 1,750개소 구축

- 녹색생태계 회복
· 스마트 그린도시 25개 조성 
· 국립공원 16개소 및 도시공간 훼손지역 25개소 생태복원

- 녹색 기술개발
·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대응, 자원순환 촉진 등 혁신적 기술개발 지원

- 신재생에너지 확산
· 태양광·풍력 발전용량 2025년까지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확충 (12.7GW → 42.7GW)
· 아파트 500만호 대상 지능형 전력계량기 보급

-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 공공임대주택 22.5만호 그린리모델링
· 초·중·고 2,890동 그린 스마트 스쿨

그린뉴딜 결과는?
- 2025년까지 총 73.4조원(국고 42.7조원) 투자
- 65만 9천개의 일자리 창출
- 1,229만톤 온실가스 감축 (202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20.1%)

경제사회의 녹색전환을 통해 사람·환경·성장이 조화를 이루며 국제사회의 책임을 다하는 그린선도 국가를 만들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