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관세피해·수출기업에 25조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기획재정부는 1일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제3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를 열고 관세피해·수출기업 금융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이 잠정 합의됨에 따라 추경 통과 즉시 금융지원 방안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실무적 준비에 만전을 다하기로 했다.
정부는 1일 '제3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를 열고 관세피해·수출기업 금융지원방안 등을 논의했다. 사진은 지난 4월 29일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원 방안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은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 6조 원 등을 포함해 총 10조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무역보험공사는 중소·중견 수출기업 대상 2조 4000억 원 규모의 무역보험을 특별 공급하고, 5월 중 기업 신청을 개시한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중소기업에 긴급 유동성 자금 7000억 원을 공급하며,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각각 3조 원과 1조 2000억 원 규모의 위기기업 특례보증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달 17일 2차 회의에서 출범한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는 현장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기업 애로를 면밀히 파악하는 한편, 권역별 설명회를 통해 피해기업이 적기에 정부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주요국의 수출통제 동향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관세와 마찬가지로 수출통제 전개 양상도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향후 품목별 모니터링 등 선제적 리스크 점검 및 공급망 안정화 노력을 병행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대외환경 변화에 특히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우 조만간 추가지원 방안을 마련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문의: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044-215-2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