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야외 활동하기 좋은 화창한 날씨에 나들이할 때 안전에 각별히 주의해 달라고 요청했다.
국민여가활동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동안 국민이 참여했던 여가활동으로 지역축제 참가(29.3%), 놀이공원 가기(20.4%), 국내캠핑(18.9%), 소풍·야유회(15.6%)가 많았다.
지역축제는 올해 상반기 495개가 계획돼 있으며 이 중 5월(192개)에 가장 많이 열릴 예정이다.
5월은 놀이공원을 찾거나 최근 이용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캠핑을 많이 즐기는 시기로 안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지난달 27일 철쭉 축제가 열리고 있는 경기도 군포시 철쭉동산을 찾은 시민들이 활짝 핀 철쭉을 보며 봄기운을 만끽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안전하게 야외 나들이를 즐기기 위해서는 먼저 '축제·행사장' 입장 전에는 배치 안내도를 살펴보고 위급상황에 대비해 비상 대피 통로는 미리 알아둔다.
공연이나 체험 등 행사에 참가할 경우 안전요원이 안내하는 동선과 출입문을 이용하고 질서를 지켜 차례대로 이동한다.
공연장에서는 관람석 이외의 곳으로 가거나 물건을 밟고 올라서는 등 돌발 행동을 피하고 위험표지판이나 안전선으로 구분된 금지 구역은 출입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모이고 복잡한 장소의 경우 어린이와 노약자는 항상 보호자와 함께 움직인다.
또한 '놀이공원'에서는 놀이기구를 타기 위해 대기하면서 안전선 밖으로 넘어가거나 안전 울타리 밖으로 신체를 내밀지 않는다.
놀이기구마다 정해져 있는 키, 나이 등 제한사항을 반드시 지키고 안전 장비를 제대로 착용했는지 꼼꼼히 살핀다.
놀이기구 탑승 중에는 일어서거나 밖으로 물건을 던지는 등 돌발 행동을 하지 않고 놀이기구가 완전히 멈추기 전까지 안전장치를 임의로 풀지 않는다.
'캠핑' 때는 전기연장선은 과열되지 않도록 전선을 끝까지 풀어 사용하고 플러그와 콘센트가 물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휴대용 가스레인지로 음식을 조리할 때 과열 위험이 있는 과대 불판·냄비는 사용하지 말고 바비큐나 모닥불 놀이 때에는 반드시 화로를 사용한 후 잔불 정리를 철저히 한다.
밀폐된 텐트 안에서 숯 등을 활용한 난방은 화재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고 잠을 잘 때에는 침낭이나 따뜻한 물주머니 등을 활용해 체온을 유지한다.
황기연 행안부 예방정책국장은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무엇보다도 안전에 유의하며 가족과 함께 즐거운 봄나들이를 즐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의: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 예방안전제도과(044-205-4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