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산업부, 540메가와트급 ESS 도입…제주·육지 전력망 안정성 강화

육지 500MW·제주 40MW 규모 ESS 도입…2023년보다 8배 확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육지 및 제주 지역의 전력계통 부족과 발전소 출력제어 해소를 위해 540MW에 달하는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ESS는 재생에너지 전력생산 등이 많은 시간에 전력 수요를 초과하는 잉여전력을 저장한 뒤 수요가 높은 시간에 방전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이고 출력제어를 줄일 수 있는 핵심 설비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에서 한 직원이 ESS 모형을 설명하고 있다. 2024.4.3.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에서 한 직원이 ESS 모형을 설명하고 있다. 2024.4.3.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산업부는 2023년 8월 재생에너지 전력생산의 급격한 증가로 발전소 출력제어가 발생하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65MW 규모의 ESS 물량을 도입하기 위한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진행했다.

최근에는 전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봄가을 중심으로 내륙 지역에서도 전력계통 부족으로 인한 출력제어가 발생해 ESS 추가 도입을 추진하게 됐다.

산업부는 이번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로 육지와 제주에 각각 500MW, 40MW 규모의 ESS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월에 확정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한 ESS 도입규모를 반영한 것이다.

이번 ESS 도입 규모는 지난 2023년에 최초로 진행된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65MW)에 대비해 8배 이상 대폭 확대된 것으로, 제주에서 육지까지 적용 지역을 확장하고 잉여전력 충전 가능 시간도 하루 4시간에서 6시간으로 연장된다. 

특히, 충전가능 시간(6시간)을 감안하면 실제 설치되는 ESS 용량은 육지 3000MWh(메가와트시), 제주 240MWh에 이른다.

이번 ESS 도입으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전력망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출력제어 빈도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 낙찰자는 가격요소와 함께 계통 기여도, 안전성 등 비가격요소를 종합 평가해 오는 7월 중 선정할 예정이다.

입찰 세부내용은 ESS 중앙계약시장 관리기관인 전력거래소 홈페이지 공지사항(https://www.kpx.or.kr)을 참조하면 된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 전력시장과(044-203-390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