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내년 예산으로 일터 혁신을 위한 재정 지원을 늘리고 산업재해 예방 등 '안전 일터' 조성에 집중 투자한다.
아울러, 일·가정 양립, 공정한 노동환경 맞춤형 일자리 대책, 인공지능(AI) 기반 인재 양성 등에도 초점을 맞췄다.
고용부는 내년 예산을 올해 본예산보다 2조 2705억 원(6.4%) 늘려 역대 최대 규모인 37조 6157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1일 밝혔다.
고용부는 국가재정을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민생 회복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경상경비를 최대한 절감하고, 유사·중복 사업 조정, 사업 운영체계 혁신 등 지출을 효율화해 핵심과제 투자를 위한 가용 재원을 확충했다.
일하는 사람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는 안전 일터, 일한 만큼 보상 받고 불합리한 차별이 없는 공정 일터, 장시간 근로하지 않고 일·가정 양립이 지켜지는 행복 일터 등 국민 삶의 근간이 되는 일터의 혁신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취약 노동자에 대한 고용안전망 확충,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중심의 인재 양성, 청년·중장년·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등 미래를 대비한 노동시장 구축에 투자를 확대한다.
구직급여·산재급여 등을 포함한 기금은 30조 9827억 원으로 4.7% 늘어나 전체 재정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금별로는 고용보험기금 18조 4789억 원, 산재보험기금 10조 4506억 원, 임금채권보장기금 8481억 원, 장애인고용기금 1조 41억 원, 근로복지진흥기금 2011억 원 등이다.
울 시내 신축 아파트 시공 현장에서 건설노동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안전, 공정, 행복 일터로 혁신
고용부는 먼저, 일하는 사람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는 안전한 일터를 위해 중소·영세기업에 대한 안전투자 대폭 확대하고 산재보상체계를 강화한다.
노사단체 등 민간·자치단체·정부·일반국민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촘촘한 산재예방체계를 구축하고 영세사업장 위험요인 제거하며 노동환경을 개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