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K-스마트팜, 북미시장 개척 시동…캐나다서 로드쇼 개최

농식품부-코트라, 북미지역 첫 K-스마트팜 로드쇼 개최
국내 기업 9개 사 참가…현지 구매업체와 1:1 수출 상담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오는 9일부터 11일(현지 시간)까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2024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4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농식품부와 코트라는 한국 스마트팜 기업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해마다 해외 구매업체(바이어)와 교류 기회를 마련해 한국 기술·제품을 소개하고 현장 수출 상담을 하고 있다.

캐나다는 기후가 열악하고 유통 거리가 긴 농산물 생산·유통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으로의 시장 확장성이 높고 우리 기업의 진출 경쟁력이 충분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이에 농식품부와 코트라는 북미지역 최초로 캐나다에서 스마트팜 로드쇼를 추진한다.

이번 로드쇼에는 스마트팜 기자재, 솔루션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국내 기업 9개 사가 참가해 기술과 제품을 직접 홍보하고 현지 구매업체 10개 사와 1:1 수출 상담을 한다.

또한, 캐나다 대표 원예 연구기관(Vineland Research & Innovation Centre)의 실증단지를 방문해 현지 원예산업의 최신 동향과 시장 수요를 파악할 예정이다.

아울러, 캐나다 스마트팜 진출전략 설명회로 현지 스마트농업 시장 정보도 공유한다.

로드쇼는 온타리오주 농업부 차관의 축사를 시작으로 온타리오주 농업부 관계자가 지역 농업 동향을 발표한다.

이어서, 원예 연구기관과 농업 분야 비영리법인에서 '한-캐나다 농업기술 협력 기회'와 '캐나다 스마트팜 기술개발 현황'을 발표하며 현지 스마트농업 분야의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캐나다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현지 농장의 한국 스마트팜 구축 경험도 소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와 코트라는 로드쇼를 통해 성사된 수출 상담이 추후 수주·수출 계약까지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밀착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우리 스마트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계약을 추진하거나 최종 수주·수출 계약 전 현지 실증이 필요한 경우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캐나다는 글로벌 스마트팜 기업들이 어느 정도 자리 잡고 있지만 여전히 진출 가능성이 열려 있는 시장"이라며 "우리 스마트팜 기업이 혁신성과 현지 적응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실 농산업수출진흥과(044-201-2477)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