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가을철 전력 공급 과잉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성에 이상이 없도록 대책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가을철 발전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과 계통불안정에 대비하기 위해 하계 수급대책기간이 끝나는 오는 20일부터 11월 16일까지 58일 동안 '가을철 경부하기 대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한국전력공사 경기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전량과 수요량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다.
전기는 부족해도 문제이지만 남아도 문제가 돼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세심한 수급균형 관리가 필요하다.
과거 여름·겨울철에는 증가하는 냉난방 수요에 대응해 동·하계 전력수급 대책기간 설정하고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맞춰 발전력 증대, 수요 감축 등을 추진했으나, 최근 발전력 조정이 자유롭지 않은 경직성 전원 증가로 인해 봄·가을철 경부하기 계통안정화 대책의 필요성이 떠오르고 있다.
가을철은 온화한 날씨로 태양광 등 발전설비의 발전량은 높으나, 해당 전기를 사용할 냉난방 수요는 감소해 특히, 산업체 조업률이 낮아지는 주말과 연휴기간을 중심으로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전력당국은 수급불균형과 국지적 계통불안정이 전력망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2023년 봄부터 경부하기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운영하고 있다.
올 가을철은 하계 수급대책기간이 끝나는 즉시 가을철 계통안정화 대책을 시행해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빈틈없이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 추석기간 장기간 연휴로 전력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어 이에 대응해 지난 16일 경부하기 수급상황 대응 모의훈련을 하기도 했다.
경부하기 기간 저수요와 고발전이 이슈가 되는 만큼 수급균형을 위한 발전량 감축과 수요량 증대 등 선제적 안정화 조치를 최대한 시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먼저, 발전량 감축과 수요량 증대 등 선제적으로 안정화 조치를 한다.
발전량을 조정하기 위해 석탄단지 운영 최소화,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 원전 정비일정 조정 등을 추진하고, 수요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요자원 활용, 태양광 연계 ESS 충전시간 조정 등을 추진한다.
다만, 이러한 조치에도 추가적인 발전량 감축이 불가피한 경우 경직성 전원에 대한 출력제어를 해 계통안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는 재생에너지를 원활하게 전력망에 연결하고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치 중 하나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어서, 공급과잉과 계통불안정 우려 때 출력제어를 사전에 안내한다.
출력제어에 대한 발전사업자들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출력제어가 필요하다고 사전에 전망되면 전일 오후 6시, 당일 오전 9시, 출력제어 30분 전 등 모두 3번 사전 안내한다.
또한, 발전사업을 준비하는 예비사업자가 발전소 입지, 시기 등에 참고할 수 있도록 연도별·권역별 출력제어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개해 나갈 계획이다.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올 가을철 안정적인 수급관리와 국지적 계통불안정 해소를 위해 선제적 안정화 조치를 최대한 시행할 계획"이라면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안정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부도 경부하기 대책기간 운영, 계통안정화 설비 보강, 시장 제도 개편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