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1년 공공도서관 통계조사 결과 발표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정책관 박명순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21년 5월부터 8월까지 전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0년 말 기준 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는 2008년 이후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통계로 국민이 지역과 일상에서 누리는 생활문화시설인 도서관의 현황을 점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올해 조사는 한국도서관협회와 함께 진행하였으며, 지금부터 이번 조사의 주요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공공도서관 방문자 수는 2019년 대비 69.5% 크게 감소하였으나, 1도서관당 일일 평균 대출 도서 수는 537권으로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승차 대출, 택배 대출, 우편 대출 등 비대면 서비스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여집니다.

2000년 말 기준 전국의 공공도서관은 1,172개 관으로 2019년 1,134개 관에서 38개 관이 증가하였고, 공공도서관의 회원 등록자 수는 7,200... 죄송합니다. 2,700만 명으로 전 국민의 약 53%가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 공공도서관 수는 경기도가 286개 관으로 가장 많고, 세종특별자치시가 12개 관으로 가장 적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증가는 정부가 건립을 지원하고 있는 생활 SOC 정책의 결과로 이는 지역주민들의 공공도서관 접근성이 꾸준히 향상되고, 보다 쾌적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게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공도서관의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2.29권으로 전년보다 3.2% 증가하였으나, 1도서관당 장서 수는 10만 1,148권으로 0.3%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전체 공공도서관 수 증가로 인한 일시적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도서관 인력 면에서 공공도서관 1관당 직원 수는 15명으로 2019년 15.5명에서 0.5명 감소하였으나, 전국 공공도서관의 사서 직원 수는 전년보다 202명 증가한 5,292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코로나19로 기존의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전환하거나 신규 온라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관련 지표를 신설하였습니다.

온라인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은 770개 관에서 1만 8,096회를 운영해 440만 명이 참여한 것으로서 나타났습니다.

이용자의 온라인 자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1도서관당 전자자료 수도 2020년 3만 7,678종으로 2019년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인 무인대출서비스의 이용은 2019년 77만 6,850건에서 2020년 124만 1,923건으로 전년대비 62.6%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스마트도서관으로 알려진 무인대출서비스는 지역주민이 이용하기 편리한 지하철역 등 주민 편의시설에서 24시간 무인으로 도서를 대출할 수 있는 서비스로 그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코로나 이후 처음 실시된 이번 조사 결과에 나타난 도서관의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서비스 기반 시설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공공장소의 무인도서대출기 설치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국립중앙도서관이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화 자료의 인터넷 이용을 2021년 21만 책에서 2022년 122만 책까지 확대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접근 가능한 자료 이용 환경을 만들어나가겠습니다.

아울러, 지역공공도서관에서 생산된 디지털 콘텐츠를 통합하여 서비스하고, 지역도서관의 동아리 등 공동체 활동을 온라인상에서도 할 수 있도록 공공도서관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우리 생활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공공도서관이 필요한 정보 자료를 보다 쉽게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일상에서 소소한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