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별 보도자료 검색
-
- “설 명절 유통 성수품 원산지 일제단속 실시”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이주명, 이하 ‘농관원’)은 설 명절 소비가 증가하는 농축산물 선물세트와 제수용 농축산물의 원산지 부정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원산지 일제단속을 실시한다. 이번 일제단속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사전에 On-off line 및 SNS 모니터링 등을 통해 원산지 위반이 의심되는 업체와 과거 위반이력이 있는 업체, 원산지 위반 신고된 업체 등을 대상으로 현장점검 및 단속을 실시한다.<설 명절 원산지 단속일정>구분단속기간투입인원주요 단속대상1단계(모니터링)1.18.~2.6.1,500명On-offline, SNS, 홈쇼핑 등1.25.~2.9.1,500명백화점 등 광고 전단지 등2단계(현장단속)2.1.~2.10.740명모니터링 결과 의심업체 등 현장단속합계24일3,740명 * 단속인력 : 3,740여 명(특사경 740, 명예감시원 3천명) 주요단속 품목은 선물용 농축산물(한우고기, 과일류, 한과류, 건강기능식품 등)과 제수용품(밤, 대추, 고사리 등) 등이며, 값싼 외국산 농축산물을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는 행위와 일반 농축산물을 유명지역 특산물로 판매하는 행위 등을 중점 단속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설 명절 성수품 원산지 일제단속과 병행하여 최근 AI 확산 및 코로나 등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계란에 대해서도 원산지 등 유통실태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농관원에서는 금번 설 명절을 시작으로 5월(화훼류), 7월(축산물) 등 연 5회에 걸쳐 원산지 부정유통에 대한 정기단속을 실시하고, 제조·가공 원료농산물 및 수급 민감품목, 국민다소비 품목에 대한 기획단속 등을 통해 농축산물 원산지 부정유통을 근절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2021년 원산지 단속 세부계획(붙임) 참고 아울러, 농관원에서는 날로 지능화되어 가는 농축산물 원산지 위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과학적인 원산지검정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디지털포렌식 수사기법 고도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면서, 소비자들께서도 농식품을 구입할 때는 반드시 원산지를 확인하고, 원산지 표시가 없거나 원산지 표시 위반이 의심될 경우 전화(1588-8112번) 또는 농관원 누리집(www.naqs.go.kr)으로 신고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신고 건이 원산지 위반 등 부정유통으로 적발될 경우 신고자에게 포상금(5∼1,000만원) 지급
- 농림축산식품부 2021.01.24
-
- 설날 선물은 우리 식품으로 마음을 전하세요!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설명절을 맞이하여 농공상기업 제품의 특별 기획전 행사를 추진한다. ㅇ 농공상기업은 농업인과 연계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중소기업으로, 2015년 12월부터 전용 브랜드인 ‘찬들마루*’를 신설하여 판로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농공상기업 제품의 판매 활성화, 인지도 제고 및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산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의 소비 촉진 일환으로 기획하였다. ㅇ 1월 25일부터 시작되는 이번 행사는 국내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네이버쇼핑(shopping.naver.com)과 우체국쇼핑(mall.epost.go.kr)에서는 2월 14일까지 21일간, SSG닷컴(www.ssg.com)과 오아시스마켓(www.oasis.co.kr)은 2월 5일까지 12일간 진행된다. -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할인(최대 15%), 포인트 적립(최대 10%) 등을 제공하여 우리 농산물을 활용하여 만든 우수한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행사규모: 네이버쇼핑(약 100개 업체, 300개 품목), 우체국쇼핑(약 220개 업체, 2,000개 품목), SSG닷컴(약 20개 업체, 50개 품목), 오아시스마켓(약 50개 업체, 150개 품목) ㅇ 한편, 오프라인 전용판매관인 용산역 ‘찬들마루’에서도 1월 25일부터 2월 14일까지 21일간 유동인구가 증가하는 설을 전후하여 판촉행사를 진행한다. - 행사 기간 동안 3만 원 이상 구매 시 보냉가방, 마스크 등 기념품을 증정하여 농공상기업 제품을 홍보할 예정이다. * 행사규모: 약 50개 업체, 100개 품목□ 농식품부 노수현 식품산업정책관은 “이번 행사가 국산 농산물로 만든 우수한 가공식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공상기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ㅇ 앞으로 농공상기업이 더욱 성장・발전하여 국산 농산물의 활용도를 높여 농업․농촌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제품개발 및 판로확대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농림축산식품부 2021.01.24
-
- 경기 화성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 보도자료(1.24. 배포시)
- □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장관, 이하 ‘중수본’)는 1월 24일, 경기 화성시 소재 산란계 농장(약 602천수 사육)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8형)가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 농장 예찰·검사 중 H5형 항원이 검출(1.23)됨에 따라 정밀검사 진행□ 이에 따라 중수본은 다음과 같은 강화된 방역조치를 실시한다. ① 발생농장 반경 3km 내 사육 가금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 ② 반경 10km 내 가금농장에 대한 30일간 이동 제한 및 일제 검사 ③ 경기 화성 소재 모든 가금농장에 대한 7일간 이동 제한□ 중수본 관계자는 “농장주의 기본 방역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으로, 생석회 도포, 농장 마당 청소·소독, 장화 갈아신기, 축사 내부 소독을 매일 철저히 실천해달라”고 당부하였다.
- 농림축산식품부 2021.01.24
-
- 코로나19 백신 관련 가짜뉴스에 신속 대응
- 코로나19 백신 관련 가짜뉴스에 신속 대응- 방심위 긴급심의를 통해 신속한 삭제,차단, 철저한 경찰 수사 등 엄정대응 -- 일 평균 국내 발생환자 132.1명 감소(516.1384.0명), 감소폭은 아직 완만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정세균)는 오늘 정세균 본부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 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백신 관련 허위조작정보 대응현황 및 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정세균)는 오늘 정세균 본부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 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백신 관련 허위조작정보 대응현황 및 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오늘 회의에서 정세균 본부장은 겨울철 추운 날씨로 목욕탕 이용객이 늘고 수면실을 이용하는 장기 거주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그럼에도 내부 온도 유지를 위해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는 사례가 많고, 특히 수면실에서는 모르는 사람들이 3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 집단감염의 위험이 크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 각 지자체는 목욕탕의 환기, 인원제한 등 방역수칙이 제대로 이행되는지 점검토록 강조하면서, 방역당국은 방역수칙을 보완할 부분이 있는지 추가적으로 검토할 것을 당부하였다.1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매주 방역 관리 상황과 위험도를 평가하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그간의 거리 두기 실천 등에 힘입어 차츰 환자 발생이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한 주(1.17.~1.23.)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384.0명으로 그 전 주간(1.10.~1.16.)의 516.1명에 비해 132.1명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의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109.9명으로 그 전 주간(1.10.~1.16.)의 149.4명에 비해 39.5명 감소하였다.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12.27.~1.2.1.3.~1.9.1.10.~1.16.1.17.~1.23.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930.3명738명516.1명384.0명60세 이상283.6명214.9명149.4명109.9명해외유입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수24.7명35.3명29.9명26.9명집단 발생1) (신규 기준)54건42건32건13건감염 경로 조사 중 비율24.6%23.0%21.9%25.1%(722/2,876)방역망 내 관리 비율2)29.0%33.1%36.6%34.5%즉시 가용 중환자실191개(1.2.9시기준)205개(1.9.9시기준)261개(1.16.9시기준)410개(1.23.9시기준) 1) 집단 발생 건수는 신고일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감염경로 조사 중 비율은 보고일 기준)2)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조사 결과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수도권 환자는 264.9명으로 감소하였으며, 비수도권 환자도 119.1명으로 줄어들었다.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1.17.~1.23.) 수도권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강원제주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264.9명17.4명20.6명24.7명44.9명8.9명2.7명 60대 이상74.1명4.7명8.3명8.1명12.6명2.0명0.0명즉시 가용 중환자실(1.23. 9시기준)225개34개28개37개67개11개8개 ○ 환자 감소 추세에 따라 위중증 환자*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 (1.16.) 360명 (1.18.) 343명 (1.20.) 323명 (1.22.) 299명 (1.24.) 282명○ 집단감염의 건수는 전주에 비해 줄어들었으며(3213건), 개인 간 접촉에 의한 감염 전파가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163개소*를 운영 중이며, 그간(12.14.~1.24.) 총 142만9945건을 검사하였다. - 어제는 전국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17,745건을 검사하여 75명의 환자를 찾아내었다. * 수도권 : 130개소(서울 52개소, 경기 70개소, 인천 8개소) 비수도권 : 33개소(부산 14개소, 대구 4개소, 경북 4개소, 울산 2개소, 세종 2개소, 전북 2개소, 전남 2개소, 광주 1개소, 대전 1개소, 충남 1개소)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457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환자 치료를 위한 병상 확보에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병상 여력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생활치료센터는 총 65개소 1만1262병상을 확보(1.23.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21.4%로 8,848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이 중 수도권 지역은 9,417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 25.5%로 7,50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8,671병상을 확보(1.23.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35.3%로 5,61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965병상의 여력이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14병상을 확보(1.23. 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55.6%로 184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16병상의 여력이 있다.○ 중환자병상은 총 744병상을 확보(1.23.기준)하고 있으며, 전국 410병상, 수도권 225병상이 남아 있다. 중증도별 병상 현황(1.23.기준) 구분생활치료센터감염병 전담병원준-중환자병상중환자병상보유가용보유가용보유가용보유가용전국11,2628,8488,6715,611414184744410수도권9,4177,5013,5971,965270116461225서울4,918 4,1361,7861,041834521590경기3,3522,5991,30060015459192101인천53840351132433125434강원164101362271502011충청권2411971,09180247225434호남권190115953689835128경북권6185161,4031,05928175137경남권63241894152951219967 ○ 이러한 병상 확보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검사소 등에 의사, 간호사 등 2,060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하여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겨울철 대유행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것은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거리 두기 실천에 따른 것이라면서,○ 당분간은 모임, 여행 등을 취소하는 등 접촉을 최소화하여 주시고, 최근 영업을 재개한 시설의 사업주와 이용자 모두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실 것을 재차 당부하였다.2백신 관련 허위조작정보 대응현황 및 계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로부터 백신 관련 허위조작정보 대응현황 및 계획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현재, 백신 등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는 범정부 대응체계를 통해 유관부처의 집중 모니터링과 방심위 심의를 거쳐 삭제,차단 조치가 이뤄지고 있으며, 수사가 필요한 사항은 경찰청을 중심으로 대응하고 있다.□ 방통위는 최근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가 확산되면서 백신접종 관련 방역활동을 방해하고, 국민 건강을 위협할 우려가 커짐에 따라,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대응을 더욱 엄중히 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가짜뉴스 중에서도 백신 관련 사항은 차질 없는 예방접종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적시성 있는 대응이 중요하므로, - 질병청 등 전문기관에서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파악된 가짜뉴스에 대해서 긴급심의를 거쳐 가짜뉴스를 신속히 삭제,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구성된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 내에 방통위, 복지부, 문체부, 질병청, 식약처, 경찰청 6개 기관이 참여하는 홍보 및 가짜뉴스 대응협의회를 두고, - 백신 가짜뉴스에 대한 모니터링부터 사실관계 확인, 심의 및 조치 등 전 과정에서 유기적으로 협력,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방통위는 가짜뉴스에 대해 엄중히 대응해 나갈 뿐만 아니라, 백신에 대한 올바른 정보가 국민들에게 신속히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먼저, 백신 관련 정확한 사실관계가 보도 및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고, 가짜뉴스에 대한 팩트체크 기사가 보도될 수 있도록 방송사에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또한, 방통위가 지원하고 방송기자연합회 등에서 운영하는 팩트체크 전문사이트 팩트체크넷(www.factcheck.or.kr)에서도 백신 가짜뉴스에 대한 팩트체크가 이뤄지도록 하고, 그 결과는 언론사 보도를 통해 확산할 예정이다.3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서울, 경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서울특별시(시장 권한대행 서정협), 경기도(도지사 이재명)로부터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서울특별시는 추가감염 확산 차단 및 지속적인 감소추세 유지를 위해 방역 사각지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대상별 맞춤형 선제검사를 추진한다. - 신분노출시 불이익에 대한 우려로 검사를 회피하는 무자격 체류 외국인에 대해서는 익명검사로 참여를 유도하고,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는 한편, -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는 신속히 검사할 수 있도록 타액검사 및 신속 항원검사 키트를 보급한다. - 서울시는 이주민지원단체, 주민자치회 등 주민조직과 협력하여, 선제검사 사각지대 대상 발굴 및 독려를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코로나19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스트레스 예방 및 심리적 안정 지원을 위해 경기도 내 자가격리자를 대상으로 코로나블루 마음처방전 과정을 개설하였다. - 동 과정은 코로나18, 심리테라피, 건강관리 등 총 12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기도 지식(GSEEK, https://vo.la/MD3xK)* 홈페이지에서 참여가 가능하다. *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을 위해 경기도와 도내 시군이 함께 운영하는 무료 온라인평생학습 플랫폼4자가격리자 관리 현황 및 사회적 거리 두기 이행 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로부터 자가격리자 관리 현황을 보고 받고 이를 점검하였다.○ 1월 23일(토)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4만 4358명이고,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만 2265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2만 2093명이다. - 전체 자가 격리자는 전일 대비 165명 증가하였다.○ 어제(1.23.)는 격리장소를 무단이탈한 2명을 적발하여, 이중 1명은 고발하였고 다른 1명은 계도하였다.□ 1월 23일(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 1만1298개소, ▲학원 3,522개소 등 23개 분야 총 2만4636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192건에 대해 현장지도하였다.○ 한편,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2,407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148개반, 612명)으로 심야 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 점검 결과 모든 업소가 미영업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붙임 1.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18.21,1.31.)2.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18.21,1.31.) 3. 다중이용시설 관련 QA4. 감염병 보도준칙별첨 1.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2.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3.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4.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5.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6.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7.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8.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9.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0.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1.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2.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6.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7.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8.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 보건복지부 2021.01.24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월 24일)
-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69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5,084명(해외유입 6,11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4,64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003건(확진자 6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7,627건, 신규 확진자는 총 392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신규 격리해제자는 486명으로 총 62,530명(83.28%)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1,20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2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349명(치명률 1.80%)이다.【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합계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신규3691271911231701119911129317171누계68,97222,5972,4408,1143,4741,38991383516117,6801,5471,4241,8399206472,7361,769487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합계(추정)유입국가*확인 단계국적중국아시아(중국 외)유럽아메리카아프리카오세아니아검역단계지역사회내국인외국인신규2301173209141211누계6,112342,7901,0511,981234222,6533,4593,3372,775(0.6%)(45.6%)(17.2%)(32.4%)(3.8%)(0.4%)(43.4%)(56.6%)(54.6%)(45.4%)*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 방글라데시 1명(1명), 러시아 2명(1명), 인도네시아 2명, 인도 1명(1명), 미얀마 1명, 아랍에미리트 1명, 이라크 1명, 파키스탄 1명(1명) 유럽 : 폴란드 2명, 프랑스 2명(2명), 오스트리아 1명, 크로아티아 1명(1명), 덴마크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3명(1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1명), 콩고민주공화국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격리해제격리 중위중증 환자**사망자1.23.(토) 0시 기준62,04411,311297 1,337 1.24.(일) 0시 기준62,53011,2052821,349변동(+)486(-)106(-)15(+)12* 1월 23일 0시부터 1월 24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월 24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1월 24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36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65.3명), 수도권에서 249명(67.5%) 비수도권에서는 120명(32.5%)이 발생하였다. 구분전국수도권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강원권제주권(서울, 인천, 경기)(대전, 세종, 충남, 충북)(광주, 전남, 전북)(대구, 경북)(부산, 울산, 경남)(강원)(제주)1.24일(0시 기준)36924932211837111주간 일 평균365.3 250.419.618.723.040.99.92.9주간 총 확진자 수2,5571,7531371311612866920 ○ 수도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구분1.18.1.19.1.20.1.21.1.22.1.23.1.24.주간 일 평균주간 누계수도권244241275277223244249 250.4 1,753 서울12895135122113119127 119.9 839 인천1318142281223 15.7 110 경기10312812613310211399 114.9 804 - (서울 성동구 거주/요양시설 관련) 1월 20일 이후 격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5명이다. 구분계요양시설거주시설기타입소자종사자(지표환자 포함)거주 및 방문자가족1.20일 누계30841152금일 누계35(+5)9(+1)5(+1)12(+1)7(+2)2 - (서울 성동구 - (인천 남동구 주간보호센터2 관련) 1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이용자 2명(지표포함), 가족 7명, 지인 1명 - (경기 김포시 주간보호센터 관련) 1월 2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 (구분) 이용자 15명(지표포함, +1), 직원 3명(+1), 가족 2명(+2)○ 강원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구분1.18.1.19.1.20.1.21.1.22.1.23.1.24.주간 일 평균주간 누계강원권1416968511 9.9 69 - (강원 동해시 다문화센터 관련) 1월 1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7명(지표포함), 가족 3명○ 충청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구분1.18.1.19.1.20.1.21.1.22.1.23.1.24.주간 일 평균주간 누계충청권2322101892332 19.6 137 대전271-11- 1.7 12 세종23-1-111 2.6 18 충북85271412 5.6 39 충남1177107179 9.7 68 - (충남 서천군 교회 관련) 1월 2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구분계환자 구분① 교회 1 관련9(+2)지표가족 3명(지표포함), 교인 4명, 가족 2명(+2)② 기도원 관련3(+3)교인 3명(+3)③ 교회 2 관련4(+4)교인 4명(+4) * (추정감염경로) 지표가족 (1.13) 교회 1 (1.16) 기도원, 교회 2○ 호남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구분1.18.1.19.1.20.1.21.1.22.1.23.1.24.주간 일 평균주간 누계호남권1815222492221 18.7 131 광주1171152617 8.4 59 전북3225-73 3.1 22 전남46914791 7.1 50 - (광주 북구 교회2 관련) 1월 2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교인 11명(지표포함), 가족 4명 - (전북 순창군 요양병원 관련) 1월 1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9명이다. 구분계입소자종사자(지표환자 포함)가족 등1.16일 누계113931010금일 누계119(+6)96(+3)12(+2)11(+1) ○ 경북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구분1.18.1.19.1.20.1.21.1.22.1.23.1.24.주간 일 평균주간 누계경북권31231815173918 23.0 161 대구131511752111 11.9 83 경북1887812187 11.1 78 - (대구 북구 스크린골프장 관련)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종사자 1명(지표포함), 방문자 5명, 가족 3명(+2), 동료 4명(+4), 기타 2명(+1) - (경북 포항시 목욕탕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방문자 9명(지표포함), 종사자 2명, 지인 4명, 기타 1명(+1)○ 경남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구분1.18.1.19.1.20.1.21.1.22.1.23.1.24.주간 일 평균주간 누계경남권34333336466737 40.9 286 부산9171219233319 18.9 132 울산5532221 2.9 20 경남20111815213217 19.1 134 - (부산 수영구 직장 관련) 1월 2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동료 4명, 가족 3명(지표포함) - (경남 창원시 직장 관련) 1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동료 4명(지표포함), 가족 3명, 지인 1명, 기타 2명 - (경남 진주시 주간보호센터 관련) 1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이용자 8명(지표포함), 종사자 1명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18. 21.1.31.)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18. 21.1.31.) 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별첨 1. 설 연휴 생활방역수칙 2.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3.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4.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6.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7.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8.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9.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2.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4.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7.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8.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9.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 보건복지부 2021.01.24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월 24일 0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월 24일 0시)□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69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5,084명(해외유입 6,11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4,64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003건(확진자 6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7,627건, 신규 확진자는 총 392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신규 격리해제자는 486명으로 총 62,530명(83.28%)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1,20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2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349명(치명률 1.80%)이다.【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합계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신규3691271911231701119911129317171누계68,97222,5972,4408,1143,4741,38991383516117,6801,5471,4241,8399206472,7361,769487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합계(추정)유입국가*확인 단계국적중국아시아(중국 외)유럽아메리카아프리카오세아니아검역단계지역사회내국인외국인신규2301173209141211누계6,112342,7901,0511,981234222,6533,4593,3372,775(0.6%)(45.6%)(17.2%)(32.4%)(3.8%)(0.4%)(43.4%)(56.6%)(54.6%)(45.4%)*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 방글라데시 1명(1명), 러시아 2명(1명), 인도네시아 2명, 인도 1명(1명), 미얀마 1명, 아랍에미리트 1명, 이라크 1명, 파키스탄 1명(1명) 유럽 : 폴란드 2명, 프랑스 2명(2명), 오스트리아 1명, 크로아티아 1명(1명), 덴마크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3명(1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1명), 콩고민주공화국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격리해제격리 중위중증 환자**사망자1.23.(토) 0시 기준62,04411,311297 1,337 1.24.(일) 0시 기준62,53011,2052821,349변동(+)486(-)106(-)15(+)12* 1월 23일 0시부터 1월 24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보건복지부 2021.01.24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1.24.)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1.24.)□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69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5,084명(해외유입 6,11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4,64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003건(확진자 6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7,627건, 신규 확진자는 총 392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486명으로 총 62,530명(83.28%)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1,20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2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349명(치명률 1.80%)이다.【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369 127 19 11 23 17 0 1 11 99 11 12 9 3 1 7 17 1 누계 68,972 22,597 2,440 8,114 3,474 1,389 913 835 161 17,680 1,547 1,424 1,839 920 647 2,736 1,769 487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23 0 11 7 3 2 0 9 14 12 11 누계 6,112 34 2,790 1,051 1,981 234 22 2,653 3,459 3,337 2,775 (0.6%) (45.6%) (17.2%) (32.4%) (3.8%) (0.4%) (43.4%) (56.6%) (54.6%) (45.4%)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 방글라데시 1명(1명), 러시아 2명(1명), 인도네시아 2명, 인도 1명(1명), 미얀마 1명, 아랍에미리트 1명, 이라크 1명, 파키스탄 1명(1명) 유럽 : 폴란드 2명, 프랑스 2명(2명), 오스트리아 1명, 크로아티아 1명(1명), 덴마크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3명(1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1명), 콩고민주공화국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3.(토) 0시 기준 62,044 11,311 297 1,337 1.24.(일) 0시 기준 62,530 11,205 282 1,349 변동 (+)486 (-)106 (-)15 (+)12 * 1월 23일 0시부터 1월 24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1월 24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1월 24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36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65.3명), 수도권에서 249명(67.5%) 비수도권에서는 120명(32.5%)이 발생하였다.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1.24일(0시 기준) 369 249 32 21 18 37 11 1 주간 일 평균 365.3 250.4 19.6 18.7 23.0 40.9 9.9 2.9 주간 총 확진자 수 2,557 1,753 137 131 161 286 69 20 ○ 수도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244 241 275 277 223 244 249 250.4 1,753 서울 128 95 135 122 113 119 127 119.9 839 인천 13 18 14 22 8 12 23 15.7 110 경기 103 128 126 133 102 113 99 114.9 804 - (서울 성동구 거주/요양시설 관련) 1월 20일 이후 격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5명이다. 구분 계 요양시설 거주시설 기타 입소자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거주 및 방문자 가족 1.20일 누계 30 8 4 11 5 2 금일 누계 35(+5) 9(+1) 5(+1) 12(+1) 7(+2) 2 - (인천 남동구 주간보호센터2 관련) 1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이용자 2명(지표포함), 가족 7명, 지인 1명 - (경기 김포시 주간보호센터 관련) 1월 2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 (구분) 이용자 15명(지표포함, +1), 직원 3명(+1), 가족 2명(+2) ○ 강원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강원권 14 16 9 6 8 5 11 9.9 69 - (강원 동해시 다문화센터 관련) 1월 1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직원 7명(지표포함), 가족 3명○ 충청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23 22 10 18 9 23 32 19.6 137 대전 2 7 1 - 1 1 - 1.7 12 세종 2 3 - 1 - 1 11 2.6 18 충북 8 5 2 7 1 4 12 5.6 39 충남 11 7 7 10 7 17 9 9.7 68 - (충남 서천군 교회 관련) 1월 2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구분 계 환자 구분 교회 1 관련 9(+2) 지표가족 3명(지표포함), 교인 4명, 가족 2명(+2) 기도원 관련 3(+3) 교인 3명(+3) 교회 2 관련 4(+4) 교인 4명(+4) * (추정감염경로) 지표가족 (1.13) 교회 1 (1.16) 기도원, 교회 2○ 호남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호남권 18 15 22 24 9 22 21 18.7 131 광주 11 7 11 5 2 6 17 8.4 59 전북 3 2 2 5 - 7 3 3.1 22 전남 4 6 9 14 7 9 1 7.1 50 - (광주 북구 교회2 관련) 1월 2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교인 11명(지표포함), 가족 4명 - (전북 순창군 요양병원 관련) 1월 1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9명이다. 구분 계 입소자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가족 등 1.16일 누계 113 93 10 10 금일 누계 119(+6) 96(+3) 12(+2) 11(+1) ○ 경북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북권 31 23 18 15 17 39 18 23.0 161 대구 13 15 11 7 5 21 11 11.9 83 경북 18 8 7 8 12 18 7 11.1 78 - (대구 북구 스크린골프장 관련)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구분) 종사자 1명(지표포함), 방문자 5명, 가족 3명(+2), 동료 4명(+4), 기타 2명(+1)- (경북 포항시 목욕탕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방문자 9명(지표포함), 종사자 2명, 지인 4명, 기타 1명(+1)○ 경남권 (주간 : 1.18일~1.24일, 단위 : 명) 구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34 33 33 36 46 67 37 40.9 286 부산 9 17 12 19 23 33 19 18.9 132 울산 5 5 3 2 2 2 1 2.9 20 경남 20 11 18 15 21 32 17 19.1 134 - (부산 수영구 직장 관련) 1월 2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구분) 동료 4명, 가족 3명(지표포함)- (경남 창원시 직장 관련) 1월 1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동료 4명(지표포함), 가족 3명, 지인 1명, 기타 2명 - (경남 진주시 주간보호센터 관련) 1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이용자 8명(지표포함), 종사자 1명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18. 21.1.31.)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18. 21.1.31.) 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별첨 1. 설 연휴 생활방역수칙 2.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3.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4.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6.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7.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8.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9.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2.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4.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7.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8.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9.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 질병관리청 2021.01.24
-
- 제1차 G20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부총재 회의 개최
- ㅁ 기획재정부 윤태식 국제경제관리관은 1.25(월)-26(화) 화상으로 개최되는 제1차 G20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ㅇ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문의.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 다자금융과 고상현 (044-215-4811)
- 기획재정부 2021.01.24
-
- 서욱 국방부 장관, 로이드 오스틴 신임 미국 국방장관과 전화통화
- 서욱 국방부장관은 1월 24일(일) 아침, 로이드 오스틴(Lloyd James Austin Ⅲ) 신임 미국 국방장관과 전화통화를 가졌습니다.세부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십시오.
- 국방부 2021.01.24
-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 신약 기술수출 역대 최대성과로 이어져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 신약 기술수출 역대 최대성과로 이어져□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대행 김초일)의 지원을 받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2020년 글로벌 기술수출 건수는 총 6건으로 약 6.8조 원 규모라고 밝혔다.ㅇ 이는 제약바이오협회(협회장 원희목)에서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2020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수출 계약금액인 총 10조1492억 원의 6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복지부 신약개발분야 RD사업의 주요 기술수출 성과(20) 년월기업명제품(물질)명종류기술이전 금액(선급금)기술이전 기업정부 지원사업20.06알테오젠ALT-B4플랫폼기술피하주사 원천기술약 4조 원 7,000억 원(192억 원)글로벌 10대 제약사 범부처전주기 신약 개발사업*20.08유한양행YH12852기능성위장관질환 치료제약 4,872억 원(24억 원)미국/프로세사파마수티컬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20.10SK바이오팜세노바메이트뇌전증치료제약 5,788억 원(545억 원)일본/오노약품공업범부처전주기 신약 개발사업*20.10보로노이VRN07돌연변이 비소세포암,고형암 치료제 후보 약물약 7,200억 원(148억 원)미국/오릭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20.12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LCB67항암제 ADC* 후보물질 LCB67*Antibody-Drug Conjugate약 3,255억 원(105억 원)미국/픽시스온콜로지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 3개 부처(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공동지원□ 특히, 알테오젠, 보로노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같은 바이오 벤처기업이 전체 대비 84%로 강세를 보였다.ㅇ 바이오벤처기업이 개발한 원천기술과 신약 후보물질을 글로벌 제약사가 기술이전 받아 개발하는 개방형혁신(오픈이노베이션) 성과가 주를 이루고 있다.□ 알테오젠의 ALT-B4는 정맥주사용 항체 및 단백질 의약품의 제형을 피하주사용 의약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인간 재조합 히알루론산 분해효소이다.ㅇ 알테오젠에서 자체개발한 피하주사 제형변형 플랫폼 기술(Hybrozyme)*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플랫폼기술 활용을 통해 향후 추가 기술수출이 기대된다. * Hybrozyme Technology 원래 효소의 고유한 작용기작을 유지하면서 단백질 구조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단백질공학 기술□ 유한양행의 YH12852는 위장관질환 치료제로 국내 전임상 독성,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뒤 미국에 기술이전 되어 2021년 중 미국에서 임상 2상 시험이 진행될 계획이다.□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는 뇌전증 치료제로 우리나라 최초로 후보물질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개발, 판매허가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하였다.ㅇ 최근에는 일본에 최대 5,788억 원(계약금 545억 원, 상업화 달성 기술료 5,243억 원 및 로열티) 규모의 기술이전 성과를 거두는 등* 향후 국내 최초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매출 1조 원 이상) 달성이 전망된다. * (이전성과) 미국식품의약국(FDA) 판매 허가 획득(제품명 엑스코프리, XCOPRI), 19년 2월 스위스 아벨 테라퓨틱스에 총 5억3000만 달러 규모 실시계약□ 보로노이사의 VRN07은 유전자(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비소세포폐암에 선택적으로 작용 가능한 신약 후보약물이며, 일반 항암치료로 고통받는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고형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의 LCB67은 세포 폐암, 간암 및 다양한 고형암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신약후보물질이다.ㅇ 자체개발한 차세대 플랫폼 기술 ADC(항체-약물 복합체; Antibody-Drug Conjugate)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작년에만 LCB67을 포함하여 차세대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총 4개 후보물질의 미국, 중국, 유럽 등 글로벌 기술이전에 성공했다.□ 보건복지부 현수엽 첨단의료지원관 직무대리는 민간기업의 도전적인 연구개발(RD)과 과감한 투자가 있었기 때문에 역대 최대 기술수출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비록 민간투자 규모에 비해 작은 규모이나 꾸준한 보건복지부 RD지원사업은 신약개발 위험을 분담해주는 혁신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ㅇ 또한 2021년부터는 신약개발 기초연구부터 사업화까지 부처간 칸막이를 제거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을 통해 전주기적 지원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 보건복지부 2021.01.24
-
- 국립중앙과학관, 2021년 인공지능 탐구프로그램 운영
- 국립중앙과학관, 2021년 인공지능 탐구프로그램 운영 관련 보도자료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용량 첨부파일은 바로보기가 지원되지 않으니, 첨부파일명을 클릭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1.24
-
- 주민과 함께 디지털 기술로 지역현안을 해결할 혁신기업을 찾습니다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원장 지대범)과 함께 디지털 지역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2021 주민참여 디지털 기반 지역사회 현장문제 해결 공모과제’를 3월 1일(월)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자세한 내용은 첨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 주민참여협업과 이성은(044-205-3449)
- 행정안전부 2021.01.24
-
- 지역의 난제,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해결한다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주민이 직접 발굴하고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해결하는 ‘지역문제해결플랫폼’운영지역에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2곳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 지역공동체과 최금동(044-205-3430)
- 행정안전부 2021.01.24
-
- 국립공원 내 사유지 매수 확대, 조기신청 접수
- ▷ 사유지 매입(12㎢) 및 550억 원 투입, 지난 해 대비 4배 증액▷ 국립공원 구역조정과 관련한 사유지 우선 매수 추진환경부(장관 한정애)와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을 보전하고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550억 원을 투입하여 사유지 12㎢를 조기에 매수할 계획이다.매수대상 토지는 국립공원 보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와 토지소유자의 귀책 사유 없이 '국립공원 및 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 지정'으로 종전의 용도대로 토지를 사용할 수 없어 국립공원공단에 매수를 청구*한 경우다.* ▲사유지 효용감소기준 완화('토지의 개별공시지가 평균치 70퍼센트 미만' 가격기준 삭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사실상 사용수익이 불가능한 경우※ 관련법률: 자연공원법 제76조(협의에 따른 매수) 및 제77조(토지매수의 청구)국립공원 내 토지 매도를 희망하는 소유자는 2월 15일까지 국립공원누리집(www.knps.or.kr)을 참고해 구비서류를 갖추고, 해당 국립공원사무소에 토지매수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이후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감정평가 등을 거쳐 토지를 매입하게 된다.올해 국립공원 내 사유지 매수예산 550억 원은 지난해 138억 원에서 약 4배 증액됐다. 환경부는 재정 조기집행 방침에 따라 약 60%에 해당하는 330억 원을 상반기 중으로 집행할 예정이다.국립공원공단은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31.5㎢의 국립공원 내 사유지를 매수했으며,매수한 토지는 유형별 보전,복원계획에 따라 야생생물의 안전한 서식 공간 확보 등을 위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올해는 국립공원 구역조정과 관련한 사유지 매수 토지 등을 우선 매수할 계획이다.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그동안 토지매수와 관련해 토지소유자의 매도 의사가 있었음에도 예산 부족과 제도의 제약사항으로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어 올해부터는 적극적으로 국립공원내 토지 매수에 나서겠다"라고 말했다.붙임 질의/응답. 끝.
- 환경부 2021.01.24
-
- 환경산업 지원으로 해외시장 수주 1조 4,845억 원 달성
- ▷ 지난해 해외진출 지원으로 폴란드 소각로 건설사업(4,900억 원), 일본 태양광 발전사업(1,190억 원) 등 대형사업 수주▷ 코로나19 예방에 따른 비대면 상담 활성화 및 탄소중립 관련 사업 발굴,추진환경부(장관 한정애)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유제철)은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 사업을 통해 지난해 해외시장 수주실적이 약 1조 4,84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이는 전년 대비 약 725억 원이 증가(5%)*한 것으로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대형 사업(프로젝트) 수주가 잇따라 이뤄지면서 이 같은 실적을 달성했다.* 2019년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 수주 실적: 1조 4,120억 원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08년부터 단계별 맞춤형 해외진출 지원 사업을 고도화하고, 코로나19 등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방식으로 국내 환경기업들의 해외수주를 돕고 있다.환경부는 환경기업들이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사업 발굴의 어려움을 사전에 파악하여 비대면 소통창구(플랫폼) 조기 구축, 국내외 격리 비용 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그 결과, 지난해 환경기업들이 폴란드 폐기물 소각로 건설사업(4,900억 원, 포스코건설) 일본 태양광 발전사업(1,190억 원, 도화엔지니어링), 인도네시아 산업용수 공급사업(776억 원, 대진환경산업) 등 대형 사업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또한, 이집트 폐기물 선별 처리시설 납품(101억 원, 제이에스티), 미얀마 고효율 쿡스토브 보급(51억 원, 에코아이), 페루 지하수 상부 보호 시설 구축(20억 원, 큰산기술) 등 중소,중견 환경기업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자재 납품 성과도 거둘 수 있었다.지난해 11월 776억 원 규모로 인도네시아 산업용수 공급사업을 수주한 이병노 대진환경산업 대표는 "코로나19로 현지 출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도네시아 환경협력센터를 통해 법률자문 및 발주처 협상 등 밀착지원을 받아 수주에 성공했다"라고 말했다.환경부는 올해에도 국내기업의 해외수출 확대를 위해 사업 초기부터 수주 단계까지 단계별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초기' 단계는 지난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구축한 비대면 온라인 소통창구(플랫폼)를 활용하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등 해외진출 유관기관과 함께 기업 수출 상담회를 수시로 운영한다. 이를 통해 해외 발주처와의 소통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또한, 유망한 해외 환경시장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환경사절단 파견, 유망 발주처 초청행사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중간' 단계에서는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하여 유망국 환경정책 개선 및 사업(프로젝트)을 발굴하는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수립지원과 개별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지원한다.특히 정부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해외 폐기물 관리 개선 종합계획 수립*을 비롯해 기후변화 대응 관련 타당성조사 지원** 등을 확대하여 한국형 환경관리 사업의 본보기를 해외에 적극 전파할 예정이다.* 이집트, 스리랑카, 벨라루스 대상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지원 예정** 매립가스 청정개발체제(CDM) 사업과 폐기물관련 재활용 등 유엔 회원국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탄소저감사업을 지원'수주' 단계에서는 지난해 새롭게 추진한 국제입찰 준비서류작성을 지원하는 본타당성 조사를 비롯해 국제금융기구*와 연계한 수출금융지원 등으로 수주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다자개발은행(MDB,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 녹색기후기금(GCF,Green Climate Fund)또한, 국내 우수한 환경기술이 해외진출 대상국의 환경규제 및 여건에 적합하도록 현지 실증을 지원하는 국제공동현지사업과 현지 시제품 제작 등 기업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해외수출기업화 지원사업도 추진한다.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올해도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환경기업을 상대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을 연계한 한국형 환경관리 사업 본보기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붙임 1. 단계별 환경산업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 개요. 2. 2020년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주요 수주실적. 3. 해외 환경협력센터(5개소) 현황. 4. 질의/응답. 끝.
- 환경부 2021.01.24
-
- 2020년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분석결과 발표
- 코로나19 등으로 소비패턴이 비대면 거래로 변화하면서 온라인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소비자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5년(2016년~2020년)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접수된 온라인거래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69,452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 (’16년) 10,331건 → (’17년) 12,601건 → (’18년) 13,648건 → (’19년) 15,898건 → (’20년) 16,974건
- 공정거래위원회 2021.01.24
-
- 20년 항공교통량 19년 대비 50% 감소…하루 평균 1,151대
-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20년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하늘길을 이용한 항공 교통량 집계 결과, 19년 대비 50.0% 감소한 42만 1천 대(하루 평균 1,151대)였다고 밝혔다.* (집계기준) 항공기운영자가 국토교통부 항공교통본부에 제출한 비행계획서 기준으로 집계월간 최대 교통량은 코로나-19 발생 전인 1월에 7만 2천 대를 기록했고, 하루 최대 교통량은 1월 10일(금) 2,464대로 조사됐다.* 하루 최저 교통량은 태풍(하이선)의 영향으로 9월 7일(월) 393대를 기록국제선과 국내선 교통량을 살펴보면, 국제선의 경우 전년 대비 66.4% 대폭 감소한 20만 대(하루 평균 546대)가 운항했고, 국내선은 전년 대비 10.4% 감소한 22만 1천 대(하루 평균 302대)로 집계됐다. 국제선 교통량 가운데 우리나라 공역을 통과해 다른 나라로 비행한 영공통과 교통량은 1만 8천 대(하루 평균 48대)로 전년 대비 69.3% 감소했다. 국제선 월간 교통량은 코로나-19로 인해 작년 1~3월 대폭 감소 후 4월 이후 교통량이 소폭 증가하지만, 국내선 월간 교통량의 경우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월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가 확산한 3월, 9월, 12월에는 교통량이 감소하였으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완화된 7월, 8월, 10월, 11월에는 예년 수준 이상 교통량 회복※ 최근 5년간 교통량 증감 추이ㅇ 전체교통량(천 대) : (16) 739 (17) 764 (18) 804 (19) 842 (20) 421- 국제교통량(천 대) : (16) 495 (17) 515 (18) 556 (19) 596 (20) 200- 국내교통량(천 대) : (16) 244 (17) 249 (18) 249 (19) 246 (20) 221우리나라 하늘길 중에서 가장 바쁜 항공로 구간은 서울-제주 구간(B576,Y711,Y722)으로 연간 163,855대가 이용했고(전체 대비 39%), 이는 전년 대비 47.5%(312.389163,855대) 감소한 것이다. 서울-제주 구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비행고도는 국제선은 38,000피트(지상 11.5km), 국내선은 27,000피트(지상 8.2km)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항공교통과 이랑 과장은 지난해 항공교통량은 코로나-19로 인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으나, 국내선을 보면 코로나 상황에 따라 수요가 단기에 회복되는 경향도 보였다면서, 올해에도 불확실성이 크나 백신 접종 등에 따라 항공교통량 조기 회복가능성도 있으므로, 항공교통량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교통량 증가에 대비한 관제사 사전교육 등 대비태세를 철저히 갖추겠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21.01.24
-
- 공동주택 입주자 사전방문 및 품질점검단 제도 시행
-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공동주택 입주예정자 사전방문 및 품질점검단이 제도화되어 24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신축 공동주택은 입주자의 사전방문과 전문가 품질점검을 거쳐 입주 전까지 보수공사 등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19년 발표된 「아파트 등 공동주택 하자예방 및 입주자 권리 강화방안」(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19.6.20.)에 따른 주택법 개정(20.1.24. 공포)으로 24일 이후에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을 실시하는 공동주택부터 적용된다. 공동주택 입주예정자 사전방문 및 품질점검단 제도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입주예정자 사전방문 시기,방법 사업주체는 입주지정기간 개시 45일 전까지 입주예정자 사전방문을 2일 이상 실시하고, 사전방문 시 입주예정자가 지적한 사항에 대한 조치계획을 수립하여 사용검사권자(시장,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② 입주예정자 사전방문 시 지적된 하자에 대한 조치 의무 사업주체는 입주예정자 사전방문 시 지적된 사항에 대하여 중대한 하자*는 사용검사를 받기 전까지, 그 외의 하자는 입주 전까지 보수공사 등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내력구조부의 철근콘크리트 균열, 철근 노출, 옹벽,도로 등의 침하, 누수,누전, 가스누출, 승강기 작동 불량 등사업주체가 조치계획에 따라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5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③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구성,운영 시,도지사는 공동주택 품질점검단을 구성,운영할 수 있으며, 17개 시,도 모두에서 품질점검단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품질점검단은 주택건설 관련 전문성을 갖춘 건축사, 기술사,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되며,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입주예정자가 직접 점검하기 어려운 공용부분과 3세대 이상의 전유부분에 대한 공사상태 등을 점검한다. 국토교통부 김경헌 주택건설공급과장은 이번 주택법 개정,시행으로 공동주택의 하자가 조기에 보수되는 등 입주민의 불편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고품질의 공동주택 공급과 입주민 권익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21.01.24
-
-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교통대책 조기 확정 등으로 신속 공급
- [ 1. 3기 신도시 추진현황 ] 3기 신도시는 지구계획 수립,토지보상 병행 등 패스트 트랙(Fast-Track)을 적용하여 보상 착수기간을 기존 대비 평균 10개월 이상 단축*하는 등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구지정보상착수 : (2기 신도시) 성남판교 24개월, 위례 30개월 등 평균 27개월 소요, (3기 신도시) 하남교산 14개월, 인천계양 14개월 등 평균 17개월 소요남양주왕숙,하남교산,인천계양은 보상공고(20.8)를 거쳐 보상절차가 진행 중이며, 고양창릉,부천대장은 상반기에 보상공고 할 계획이다. 남양주왕숙,하남교산,인천계양은 지구계획(안)을 마련(20.10)하여 관계기관 협의 중이며 올해 상반기에 순차 확정할 계획이다. 고양창릉,부천대장은 도시,건축,교통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지구계획(안)을 마련 중이며, 21년 말까지 확정할 예정이다. 3기 신도시는 본 청약보다 1~2년 먼저 공급하는 사전청약제를 시행하여 주택공급시기를 기존 신도시 대비 평균 57개월(4년9개월) 단축*하여 조기 공급할 계획이다.* 지구지정최초 주택공급 : (2기 신도시) 성남판교 51개월, 위례 64개월, 평택고덕 126개월 등 평균 81개월 소요,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 25개월, 하남교산 25개월, 인천계양 21개월 등 평균 24개월 소요7월 인천계양을 시작으로 사전청약이 시행되며, 9~10월에는 남양주왕숙2 등, 11~12월에는 남양주왕숙, 하남교산, 고양창릉, 부천대장 등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연말까지 3만호를 조기공급하고, 나머지 3.2만호는 22년에 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 2. 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20.12.30)를 거쳐 인천계양(1만 7천호)과 부천대장(2만호)의 교통대책이 확정됨에 따라 3기 신도시 교통대책이 모두 확정되었다. 3기 신도시는 입주 시 교통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지 발표부터 교통대책(안)을 마련했으며, 사업별 검증, 관계기관 협의 등을 신속히 추진해 기존 대비 평균 16개월* 이상 빨리 교통대책을 확정했다.* 지구지정교통대책 확정 : (2기 신도시) 성남판교 25개월, 김포한강 28개월 등 평균 27개월 소요, (3기 신도시) 하남교산 7개월, 남양주왕숙,고양창릉 15개월 등 평균 11개월 소요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은 서울도심까지 30분대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지하철 등 대중교통 투자를 확대하고, 사업추진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사업계획을 함께 수립하여 광역교통시설의 적기 준공을 도모하였다.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이후, 주요 사업에 대해서는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이와 병행하여 인허가 절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금번 교통대책이 확정된 인천계양, 부천대장은 서로 인접한 지구임을 감안하여 신도시 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두 지구를 통합하여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하였다. 대중교통 부분은 김포공항역~계양지구~대장지구~부천종합운동장을 잇는 S-BRT* 등 신교통수단을 설치하여 주변 철도노선(5,7,9호선, 공항철도, GTX-B 등)으로의 원활한 연계가 가능한 교통망을 구축한다.* Super BRT :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일종으로 지하철 수준의 속도,정시성을 갖춘 최고급형 BRT도로교통 부분은 국도39호선(벌말로) 확장, 경명대로 신설, 오정로 확장 등을 통해 도로용량을 확보하고 도로 간 연계성을 개선하여 광역교통 접근성을 대폭 강화한다. 인천계양,부천대장 교통대책이 확정됨에 따라 대중교통 32건, 도로교통 49건 등 총 81건의 3기 신도시 교통대책 수립이 모두 완료되었다. 주요 사업으로 하남교산은 송파~하남간 도시철도 등, 남양주왕숙은 서울 강동~하남~남양주간 도시철도, 한강교량 신설 등, 고양창릉은 고양~은평간 도시철도, GTX-A 역사신설 등이 있다. 3기 신도시 교통대책의 특징으로는 철도,S-BRT 등 대중교통시설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의 교통도 함께 고려하는 교통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교통시설 개통 전 입주 초기 교통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버스 등 대중교통운영비용을 지원토록 한 점을 들 수 있다.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시행되면 3기 신도시에서 서울 도심까지의 통행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신도시 뿐만 아니라 기존 도로 혼잡도 개선 등 주변 지역의 교통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3기 신도시 교통대책 중 철도사업은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여하는 관계기관 협의체를 통해 시행방식 등 세부사항을 정하고 상위계획 반영, 기본계획 착수 등을 진행할 계획이며, 우선 발주하여 진행 중인 도로사업 외 나머지 사업도 관련용역을 발주하고 실시설계에 착수하는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2021.01.24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월 24일 0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월 24일 0시)□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69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5,084명(해외유입 6,11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4,64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3,003건(확진자 6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7,627건, 신규 확진자는 총 392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486명으로 총 62,530명(83.28%)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1,20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2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349명(치명률 1.80%)이다.【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369 127 19 11 23 17 0 1 11 99 11 12 9 3 1 7 17 1 누계 68,972 22,597 2,440 8,114 3,474 1,389 913 835 161 17,680 1,547 1,424 1,839 920 647 2,736 1,769 487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4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23 0 11 7 3 2 0 9 14 12 11 누계 6,112 34 2,790 1,051 1,981 234 22 2,653 3,459 3,337 2,775 (0.6%) (45.6%) (17.2%) (32.4%) (3.8%) (0.4%) (43.4%) (56.6%) (54.6%) (45.4%)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 방글라데시 1명(1명), 러시아 2명(1명), 인도네시아 2명, 인도 1명(1명), 미얀마 1명, 아랍에미리트 1명, 이라크 1명, 파키스탄 1명(1명) 유럽 : 폴란드 2명, 프랑스 2명(2명), 오스트리아 1명, 크로아티아 1명(1명), 덴마크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3명(1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1명), 콩고민주공화국 1명(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1.23.(토) 0시 기준 62,044 11,311 297 1,337 1.24.(일) 0시 기준 62,530 11,205 282 1,349 변동 (+)486 (-)106 (-)15 (+)12 * 1월 23일 0시부터 1월 24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붙임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202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