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어촌·어항, 새로운 해양관광명소로 탈바꿈한다
해수부, '국가어항 레저관광개발 기본계획' 수립
고령화와 어가소득 감소로 정체기에 있는 어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해양레저관광을 다변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발 벗고 나섰다.
해양수산부(장관 유기준)는 어촌주민의 소득 증대 및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어촌·어항 고유의 특색을 살린 관광 자원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어항 레저관광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의 주요 내용은 ▲국가어항 유형별 개발모델 설정, ▲ 국가어항 브랜드 개발 및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 ▲아름다운 어항개발 기본계획 수립, ▲어촌 마리나역(驛) 육성 개발계획 수립 등이다.
‘국가어항 유형별 개발모델’은 109개 국가어항과 배후 어촌이 보유한 자원에 주목하여 레저관광개발 여건이 양호한 국가어항 70개소를 선별하고, 복합관광형(23개소), 휴양문화형(19개소), 어촌레저형(28개소) 총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복합관광형’은 국가어항 레저관광 거점으로 복합개발을 유도하는 모델로 배후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숙박·상업시설 민자를 유치하고 요트·마리나 중심의 해양친수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휴양문화형’은 지역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가족형 휴양지로 육성하며, ‘어촌레저형’은 해양레저 및 낚시 등 어촌을 특화 여가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국가어항 브랜드 개발 및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은 해양관광명소로서의 어촌·어항의 인지도를 높이고 개발 유형별로 효율적이고 통일적인 홍보·마케팅을 위해 추진한 것으로 대한민국 국가 어항 영문명을 활용한 ‘K-PORT'는 다양하게 디자인을 변형하여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름다운 어항’ 사업은 국가어항에 경관적·생태적·감성적·문화적 가치를 더하여 방문객들이 심미적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어촌·어항으로 만들기 위해 추진한다. 해수부는 2014년에 해역별로 대상 어항 4개소*를 선정하였으며 각 항별로 아름다운 어항 개발에 약 15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 동해 수산항(양양군), 서해 격포항(부안군), 남해 미조항(남해군), 제주 김녕항(제주시)
‘어촌 마리나역(驛)’ 사업은 해양레저활동이 공존하는 어업겸용 소규모 마리나 시설로서, 어업활동 공간과 구분되어 해양레저활동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연계하는 ‘해상간이역’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난 4월 사업 대상항 16개소*를 선정한 바 있다.
* 신규개발(9개소) : 대진, 삼길포, 전장포, 우이도, 서거차, 초도, 연도, 매물도, 신양 / 기 개발(2개소) : 격포, 오산 / 추진 중(5개소) : 남당, 욕지, 물건, 저동, 위미
권준영 해양수산부 어촌어항과장은 “국가어항 레저관광개발은 새로운 해양관광명소로서 어촌?어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주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미래지향적 레저관광모델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