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북한의 「운전면허 제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북한에서는 차량소유가 제한되어 있고 운전뭔 수급사정에 따라 면허증을
발급하고 있어 간부들과 해외공관 근무자들을 제외하고는 주민들이 임의로
면허를 취득하기가 쉽지 않다

북한 주민들이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방법은 3가지인데 「운전원 양성소」
의 정규과정을거쳐 면허시험을 보거나, 군대에서 운전교육을 받아 면허를
얻거나, 「운전 협조원」으로 2년간 사고없이 지내면 4급 면허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을 얻을수 있다.

북한의 운전면허는 1ㆍ2ㆍ3ㆍ4급 등 4종류로 나뉘어지는데 4급면허 소지자는
5톤이하의 화물차를, 3급은2.5톤급 화물차와 버스 및 지프차를, 2급은
모든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1급면허 소지자는 2급면허와 같이 모든 차량을 운전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차 설계 및 제작까지 할 수 있어야만 주어진다.

모든 운전면허는 각 道마다 1개소씩 소재하고 있는 「운전원양성소」에서
1년정도의 교육을 받아야 취득할 수 있다.

교육내용은 단순히 운전기술뿐 아니라 차량수리와 정비에 관해서도 교육을
받는데 이는 북한내 자동차 정비기관이 따로 없어 각 소속 직장별로 운전기사들이
자체적으로 고장 수리를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다.운전기사 교육과정은 이론으로는 구조학ㆍ정비학ㆍ교통규정을, 실습으로는
부속품 구분ㆍ작동원리 등을 교육받는데 이론과 실습 교육의 비율은 6:4 정도이다.

운전면허 시험은 「운전원 양성소」내에서 실시되며 시험과목은 필기시험 이외
에도 8자코스ㆍ5자코스ㆍ주행시험 등을 치르고 최종적으로 도로 안전교육을 받은
후 면허증을 발급받게 된다.

또한 4급 면허자가 1-2년이 경과하면 운전경력에 따라 시험자격을 얻어 1-3급으로
급수가 승급된다.

“이 자료는 국정홍보처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