촬영 개시 전에는 최소 15일 전에 허가 신청서, 행위 계획서, 서약서를 제출해야 하고, 10인 이상의 촬영 인원이 투입되거나 상업 촬영인 경우 문화유산 전공자나 해당 지자체 소속 해설사를 안전 요원으로 지정해야 한다.
드론 활용이 많아진 요즘, 문화유산 촬영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열린강좌 누리집)
촬영 중에는 별도 시설물 설치 금지, 불꽃이나 열기 사용 금지, 드론 사용 시 안전거리 확보 등 구체적 지침이 제시된다.
촬영 종료 후에는 반드시 현장을 확인하고, 필요 시 확인서 제출까지 해야 한다.
직접 들어보니 왜 촬영 준비가 복잡한지 이해가 됐다.
그만큼 문화유산이 민감하고 소중하기 때문일 것이다.
국가지정문화유산 촬영 허가 신청서. (출처=국가유산청)
이처럼 촬영 준비와 과정에서 요구되는 조건은 까다롭지만, 반드시 지켜야 한다.
그 이유는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더 분명해진다.
문화유산 내 촬영 경험이 있는 영상 제작사 트라이앵글 리스토리 최성림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문화유산 촬영은 장비 반입부터 다릅니다. 모든 장비에 보호대를 씌우고 들어가죠. 못을 박거나 부딪히는 일은 상상조차 하지 못합니다. 촬영을 신청할 때는 인원, 장비, 시간, 위치를 구체적으로 신고해야 하고, 문제 발생 시에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 회사마다 자체 지침이 있지만 동일한 기준을 따른다면 현장의 혼선이 줄고, 촬영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분명한 원칙이 될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표준 가이드라인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봅니다."
문화유산은 단순한 촬영 배경이 아니라, 역사의 한 페이지다. (출처=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열린강좌 누리집)
나 역시 영상 제작 준비 단계부터 촬영 후 확인까지 여러 차례 경험하면서 얼마나 많은 준비와 관리가 필요한지 실감한 적이 있다.
특히 문화유산은 일반 공간보다 훨씬 더 섬세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교육 과정을 통해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국민도 경각심을 가지고 문화유산 촬영 기준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손쉽게 영상을 찍는 시대인 만큼, 관람객 역시 문화유산 촬영 기준을 알고 촬영자들이 올바르게 지키는지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창작의 자유는 '문화유산 보호' 책임을 다할 때 의미가 있는 것! (출처=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열린강좌 누리집)
문화유산은 우리의 역사이자 정체성이며, 미래 세대에게 전해줄 소중한 자산이다.
창작의 자유는 보존의 책임과 함께할 때 비로소 의미가 있다.
이번 온라인 교육은 국민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안에 핵심을 배울 수 있는 실용적인 과정이다.
더 많은 이들이 수강에 동참해 문화유산을 지키고 올바르게 활용하는 길에 함께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