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이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에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공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걸음을 옮기면 도심 한복판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에게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한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후 우리나라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왔다. 올해는 특히 '365일 열려있는 극장' 을 표방하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 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유·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문화가 있는 날' 이기도 했던 지난 8월 27일,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을 직접 찾았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이 흘러나오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기 시작했다.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바라보던 시민들은 점차 이야기에 몰입했다. 무대에는 단 한 명의 연주자뿐이었지만,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들은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탈바꿈시키기에 충분했다.
인형극 <곁에서> 공연 장면.
그림을 그리기도, 가위로 가야금 현을 자르기도 하는 과감한 연출은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도 허물어졌다.
연주자는 공연 도중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며 참여를 유도했다.
단순한 수동적 관람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은 특별한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아이들과 함께 명동을 찾았다가 우연히 공연을 관람하게 된 한 관객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스러운 소감을 전했다.
인형극 <곁에서> 공연 장면.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려고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 의 취지와도 맞닿아 있다.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하는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시간을 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이나, 관광객,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까지 관객이 되면서, 예술은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는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알차게 활용하기 좋다.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으며,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 중단 혹은 취소가 될 수 있다.
자세한 프로그램 일정과 정보는 국립극단 누리집 및 공식 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낮의 명동극> 공연소개 페이지. (출처=국립극단 공식 누리집)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 에 만날 수 있는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혹시 명동을 찾기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 접속해 보자.
'문화가 있는 날' 문화혜택 소개 페이지. (출처=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공식 누리집)
이곳에서 전국 각지의 문화공간에서 제공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히는 할인 혜택 정보를 알 수 있는 '할인', 국·공립시설의 무료 및 연장개방 정보를 안내하는 '무료관람 및 연장개방', 전국 민간·공공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두배로 대출' 등 항목별로 구분이 되어있어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기 좋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콘텐츠를 찾고 있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