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보이스피싱·스미싱 OUT! 구해줘 방통위!

2021.03.29 방송통신위원회
인쇄 목록

보이스피싱·스미싱 OUT! 구해줘 방통위!

  • 보이스피싱·스미싱 OUT! 구해줘 방통위! 하단내용 참조
  • 어디서 보신 적이 있다고요? 하단내용 참조
  • <2020년 탐지된 스미싱 건수 : 95만 843건> 하단내용 참조
  • 방통위, 과기정통부, 금융위, 경찰청은 보이스피싱·스미싱 등의 피해 방지 대책을 추진합니다! 하단내용 참조
  • 방통위는 전국민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경고, 주의 문자를 발송하였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방통위는 통신의 부정사용 방지 위한 제도개선 및 기술적 대응 노력을 병행합니다! 하단내용 참조
  • 방통위는 AI 기반의 기술개발(가짜음성 탐지 등)을 통한 기술적 대응을 강화해 나갑니다! 하단내용 참조
  • 명의를 빌려주면 당신도 범죄자가 될 수 있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 명의가 도용되었는지 의심되시나요? 하단내용 참조
  •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피해 예방으로 비대면 신뢰 사회가 정착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하단내용 참조

방송통신위원회는 과기정통부, 금융위, 경찰청과의 협력을 통해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피해 방지 대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경고 및 주의문자 발송부터 AI 기술을 활용한 기술적 대응까지 ‘보이스피싱, 스미싱 OUT’을 위한 방통위의 노력, 카드뉴스로 살펴볼까요?

최근 휴대폰 고장을 이유로 타 전화번호로 부모의 개인정보 및 금전을 요구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 탐지된 스미싱 건수 : 95만 843건>
2020년에 문자 메세지를 이용한 해킹 스미싱 건수는 95만 843건으로 전년 대비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한 비대면 생활의 지속으로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건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문자·SNS로 다양한 사유들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방통위, 과기정통부, 금융위, 경찰청은 보이스피싱·스미싱 등의 피해 방지 대책을 추진합니다!

▷방통위는 전국민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경고, 주의 문자를 발송하였습니다!
문자나 SNS 등으로 스미싱 범죄가 일어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이통3사의 협조를 얻어 행동요령을 담은 경고·주의 문자를 전 국민 대상으로 발송하였습니다.

▷방통위는 통신의 부정사용 방지 위한 제도개선 및 기술적 대응 노력을 병행합니다!
출국 외국인·폐업 법인 명의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보이스피싱 등 범죄조직에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법무부와 국세청과 협력해 외국인이 출국하거나 법인이 폐업할 경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전 고지를 거쳐 휴대폰 이용이 중지하도록 했습니다.

▷방통위는 AI 기반의 기술개발(가짜음성 탐지 등)을 통한 기술적 대응을 강화해 나갑니다!
보이스피싱을 사전 예측하거나 가짜음성을 탐지하는 기술인 음성·텍스트 딥러닝 기술 기반 보이스피싱 예방 기술개발을 개발·적용해 나갈 예정입니다!

▷명의를 빌려주면 당신도 범죄자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 참여해요! 명의도용·차명 폰 예방 캠페인
[STEP1] 휴대전화 가입시 문자확인!
[STEP2] 통신서비스 가입현황 확인!
[STEP3] 이동전화 가입제한 하기!
[STEP4] 명의도용 문제 발생 시 ‘통신민원조정센터’ 이용!

※명의가 도용되었는지 의심되시나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에서 운영중인 명의도용 확인사이트에 방문하면 누구나 간편하게 본인의 명의가 도용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사전 예방이 가능합니다!
*명의도용 확인사이트(https://www.msafer.or.kr/index.do)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피해 예방으로 비대면 신뢰 사회가 정착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