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확진자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에 따른 재택치료 가이드를 확인해 보세요!
* 지침 변경에 따라 향후 조정될 수 있음
▶ 집중관리군
[건강 모니터링]
귀하에게 지정된 집중관리의료기관에서 연락을 드릴 예정입니다. 안내에 따라 진료지원앱을 설치해 주세요.
매일 건강 정보를 측정하여 진료지원 앱에 입력해 주세요.
[치료 안내]
- 증상 발생 시
① 대면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외래진료센터*를 방문하시고, 진료를 본 후에는 즉시 귀가하세요.
* 사전예약 후, 도보, 개인차량(본인운전 가능), 방역택시 활용, KF94 마스크 착용
※ 네이버·다음 및 카카오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외래진료센터” 검색 및 확인 가능
② 필요 시 재택치료 집중관리의료기관의 전화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먹는 치료제는 의사의 판단하에 처방이 가능합니다.
* 복용 중 이상반응 발생시 의료진의 상담을 통해 복용 지속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숨가쁨, 해열제로 조절되지 않는 38도 이상의 발열 등 증상이 발현 또는 악화된 경우에는 집중관리의료기관으로 우선 연락 또는 외래진료센터 대면진료를 최대한 활용하세요. 호흡곤란, 의식저하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11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보건소에서 발송된 문자에 안내된 번호 참조
◎ 재택치료 배정 알림 예시 [○○구 재택치료추진단] → 24시 응급콜
① ○○병원 000-000-0000
② ○○구 재택치료추진단 000-000-0000/
③ 위급상황으로 119 전화시 재택치료 받고있는 ○○○임을 밝히세요.
◎ 응급상황 관련 증상
계속 가슴이 아프거나 답답한경우
사람을 못 알아보며 헛소리 하는 경우
깨워도 계속 자려고 하는 경우
손톱이나 입술이 창백하거나 푸르게 변하는 경우
- 생활치료센터·재택치료 진료지원시스템을 통해 정신건강 자가진단을 총 2회(재택치료 시작일, 시작일+5일) 실시하고, 필요 시 재택치료팀에 심리상담 연계를 요청하거나, 직접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1577-0199, 24시 운영)로 전화하셔서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의료적 상담 이외, 생활안내, 의료이용 방법, 격리기간·해제, 생활지원금 등 궁금하신 사항은 지자체별로 운영중인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에 문의하세요.
▶ 일반관리군
[건강관리]
휴식과 안정을 취하면서, 스스로 건강상태를 관찰하세요.
필요 시 동네 병·의원과 호흡기진료 클리닉 등을 통해 외래진료센터 대면진료 또는 전화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면진료 및 전화 상담·처방 안내]
- 치료가 필요한 경우, 사전예약 후 외래진료센터*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 도보나 개인차량(본인운전 가능), 방역택시 등을 활용하여 진료센터로 이동이 가능하며, 반드시 KF94(또는 이와 동급) 마스크를 착용하고, 진료 후에는 즉시 귀가하세요.
※ 네이버·다음 및 카카오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외래진료센터” 검색 및 확인 가능
- 대면 진료 후 환자 본인이 약을 직접 수령할 수 있습니다. 처방전을 받아 약국에 제출해 주세요.
- 또는, 동네 병·의원, 호흡기전담클리닉, 호흡기 진료 지정의료기관 등에서 전화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일 1회 전화상담 및 처방이 가능하며(만 11세 이하 소아확진자(예방접종미대상군)는 1일 2회 가능), 중복하여 여러 의료기관에서 전화상담·처방을 받지 않도록 주의 필요 (코로나19 이외 질환의 경우 진료·처방 본인부담 발생)
※ 네이버·다음 및 카카오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코로나19 전화상담병의원” 검색 및 확인 가능
- 전화 상담으로 처방받은 경우, 처방의약품은 가족 등 동거인(공동격리자 포함), 지인 등 대리인 수령이 원칙이나, 불가능한 경우 직접 수령도 가능합니다. 의료기관에서 처방전을 약국에 전송하면 약을 수령합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에서 재택치료자를 위한 처방의약품 조제·전달이 가능한 약국 명단 확인 가능
- 야간에는 24시간 운영하는 의료상담센터*에 전화하여 상담과 처방이 가능합니다.
* 상담센터 연락처는 관할보건소에서 발송된 안내 문자 참조
- 숨가쁨, 해열제로 조절되지 않는 38도 이상의 발열 등 증상이 발현 또는 악화된 경우에는 동네병의원, 의료상담센터 비대면진료 또는 외래진료센터 대면진료를 최대한 활용하세요. 호흡곤란, 의식저하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119 등에 연락하세요.
◎ 응급상황 관련 증상
계속 가슴이 아프거나 답답한경우
사람을 못 알아보며 헛소리 하는 경우
깨워도 계속 자려고 하는 경우
손톱이나 입술이 창백하거나 푸르게 변하는 경우
- 불안이나 우울 등 심리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지역 정신건강 복지센터(1577-0199, 24시간 운영)을 통해 심리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의료적 상담 이외, 생활안내, 의료이용 방법, 격리기간·해제, 생활지원금 등 궁금하신 사항은 지자체별로 운영중인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