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청와대,4개신문 언론중재동시청구]내부거래 조사에 개입 어불성설_동아

취재후엔 돌아가는 특성 도외시_대한

2003.07.07 국정신문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청와대는 1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대한매일,한겨레 등 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언론중재위에 정정 및 반론보 도를 청구했다.

청와대가 언론보도 4건을 동시에 언론중재 청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가운데 동아일보 6월14일자〈청와대 ‘부당내부거래 조사 살살하라’〉. 대한매일 6월6일자〈‘기자 없는’ 춘추관 브리핑룸〉제하 기사는 문희상 비서 실장 명의로 각각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를 청구했으며, 경향신문 6월11일자〈노 언론관 못읽는 이해성 홍보수석〉, 한겨레 6월11일자〈노대통령 -언론사주 회동 주선하려 했다〉제하 보도 등 2건은 이해성 홍보수석 명의로 정정보도를 청구했다. 다음은 청구요지.

■동아일보 6월14일자 4면〈청와대 “부당 내부거래 조사 살살하라”> 제하의기사를 통해 청와대가 공정거래위 조사에 개입하고 공정거 래위와 이견이 있는 것처럼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청외대는 공정거래 대한 위에 6대 그룹 부당내 부거래 조사와 관련해 조사강도를 낮출 것을 요청한 사실이 없다. 보도과정에서도 청와 대의 공식 견해를 확인한 사실이 없는 등 허위사실을 적시해 청와대의 재벌개혁 의지가 퇴색한 것으로 묘사했다.

■대한매일 6월5일자〈‘기자 없는' 춘추관 브리핑름〉제하 기사를 통해 청와대 보도지원실인 춘추관의 탁상공론 식 수요예측으로 브리핑름이 텅비는 등 불필요하게 예산이 낭비됐다고 지적했으나 청와대 브리핑룸은 순수한 브리핑 시설로, 사안별로 브리핑에 참석하고 브리핑 취재가 끝난 후 소속사로 돌아가는 특성을 도외시하고 예산낭비만을 강조해 춘추관 운영에 대해 부정적 인상을 주려는 듯한 의도를 드러냈다.

이와 함께 브리핑이 없는 시각에 10 여명의 기자들이 기사작성을 하는 장면 등을 스케치식으로 보도하고 출입 기자 등록규정 등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반론보도가 필요하다.

■경향신문6월11일자〈노 언론관못 읽는 이해성 홍보수석〉제하 기시에서 홍보수석과 정무수석이 대통령과 언론 사주들의 면담을 주선했으나 노 대통령이 이를 거절해 일부 참모들이 대통령의 언론관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고 비판했으나, 홍보수석은 언론사주 들과의 면담을 건의한 사실이 없다. 따라서 노 대통령이 언론사주와의 면 담을 일축한 사실도 없다.

■한겨레 6월11일자〈 “노대통령-언론사주 회동 주선하려 했다” 이해성 흉보수석〉제하의 기사는 홍보수석이 언론사주들과의 면담을 건의한 사실이 없는데도 이를 기정사실화해 마치 과거 권력처럼 언론과 밀월관계를 맺고 자하는 언론관을 가진 것으로 인식케 하고 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