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법인세 인하의 투자·고용 기대효과, 여러 실증 연구결과서 나타나

2022.07.22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법인세 인하의 투자·고용에 대한 기대 효과는 여러 실증 연구결과에서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

7월 22일 한겨레 <불황 탓 사업 줄이는 판에…추경호 “감세로 투자 확대” 기대>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법인세 실효세율은 2019년 19.1%에서 지난해 17.5%로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 전 수준으로 돌아간 상태

○ 특히 기재부는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가 투자 확대, 제품·서비스 가격 인하, 배당 확대, 임금 인상 등으로 이어진다는 근거로 2008년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자료를 제시했다. 14년 전 이명박 정부가 법인세 감세 추진에 활용한 자료이다.

○ 법인세 감세 근거와 기대 효과가 불투명하다”, “최근 경제 여건 악화로 대기업들이 투자 재검토에 착수한 것도 감세 효과에 대한 의문을 키운다.

[기재부 입장]

① 법인세 실효세율은 최고세율 인상 등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ㅇ ‘20년 일시적으로 감소한 법인세 실효세율은 ‘21년 18.1%로 다시 상승하였고, 금년에는 법인세수가 1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상승할 것입니다.

법인세 실효세율 추이 (%)

② 법인세율 인하에 따른 효과가 사회 전반에 걸쳐 혜택이 돌아간다는 것은 다양한 실증 연구 결과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납니다.

ㅇ 금번 세제개편안에서 ‘08년 조세재정연구원 자료를 인용한 것은 국내의 대표적인 국책연구기관의 연구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ㅇ 법인세율 인하의 혜택이 배당을 통해 주주에게, 상품가격 인하를 통해 소비자에게, 고용 및 임금 증가 등을 통해 근로자에게 각각 귀착된다는 것은 다른 연구결과에서도 일반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 (예시) 법인세 효과는 주주(40%), 근로자(30∼35%) 귀착(Serrato and Zidar, 2014), 주주(75~82%), 근로자 (18~25%) 귀착(Keightley and Sherlock, 2014) 

ㅇ 또한 저명 학자들도 이러한 원리를 당연한 것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 “법인 그 자체가 세금을 부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세금이란 법인과 관련된 노동자든, 소비자든, 주주든 누군가 살아 움직이는 인간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이다.”(이창희, 「세법강의」 p.562~563)

③ 다양한 실증 연구에 따르면 법인세율 인하는 투자·고용 증가 효과가 있다고 분석되며, 미국 등 외국 사례에서도 기업 투자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ㅇ ‘16년 KDI는 법인세 평균실효세율 1%p 인하시, 투자율은 0.2%p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고, 

ㅇ ‘17년 조세재정연구원은 법인세율 3%p 인상시 투자 △0.7%, 고용 △0.2%, GDP △0.3% 감소를 유발한다고 발표하였으며,

ㅇ ‘22.4월 OECD 통계에 따르면 법인세율 인하 전후 2년 평균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을 비교한 결과 미국(‘18년)과 프랑스(’16년)에서 유의미한 증가 현상이 나타난 바 있습니다.

④ 정부는 민생안정과 경제활력 회복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는 차원에서 

ㅇ 금번 세제개편안에서 법인세율 인하뿐만 아니라 세액공제 확대, 외국 우수인력의 국내 유입 인센티브 강화 등 다양한 세제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ㅇ 이러한 조치가 시행된다면 기업의 투자 여력이 높아져서 투자·고용이 증가되어 경제활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법인세제과(044-215-422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