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올해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단가 344% 인상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하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단가를 9000원에서 4만원으로 344% 인상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동절기(7개월) 에너지바우처 지원액 일부를 하절기에 당겨쓸 수 있어 하절기(3개월)에 전체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의 43.2%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7월 28일 경향신문<폭염에 취약계층 헐떡이는데…냉방예산은 난방예산의 24%>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폭염에 취약계층 헐떡이는데 냉방예산이 난방예산의 24%

[산업부 입장]

□ ‘22년 에너지바우처사업은 추경 등을 통해 지원대상을 생계·의료급여 대상 중 더위·추위 민감계층 88.9만 가구에서 주거·교육급여 대상 중 더위·추위 민감계층까지로 포함한 117.6만 가구로 확대하였으며, 

ㅇ 지원단가도 7월~9월, 3개월간 사용하는 하절기 에너지바우처의 경우 가구 당 평균단가를 0.9만원에서 4만원으로 344% 인상하여 현실화하고, 10월~차년도4월, 7개월 간 사용하는 동절기 에너지바우처는 11.8만원에서 14.5만원으로 22.9% 인상하였음

ㅇ 이와 관련하여 수혜자가 희망하는 경우, 하절기에 4.5만원의 범위 내에서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을 당겨쓸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하절기 3개월 간에 전체 10개월 간 사용하는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의 43.2%를 사용할 수 있음

□ 저소득층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은 고효율의 냉방기(에어컨 등), 냉·난방 겸용기기, 단열·창호 시공, 보일러 교체 공사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ㅇ 에너지바우처와 같이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은 아니며, 

ㅇ 냉방기 지원에 비해 단열·창호 시공*, 냉·난방 겸용기기**, 보일러 교체 공사 지원 등의 경우 사업종류나 비용단가가 높아 냉방기 지원 단일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이 배정되고 있음

* 단열·창호 시공의 경우에는 난방뿐만 아니라 냉방효율을 높이는 사업임    

** 난방뿐만 아니라 냉방기의 기능도 겸용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자원안보정책과(044-203-525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