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공정위 “조사·심판 기능 엄격하게 분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심판 기능이 기능적으로 엄격하게 분리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10월 4일 이데일리 <조사·심의 ‘한 몸통’…시장 신뢰 잃은 ‘1인2역’ 공정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설명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조사·심판 기능이 기능적으로 엄격하게 분리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정위 설명]

□ 공정거래위원장(부위원장)은 공정거래 정책의 최종 결정권자로서 일관성 있는 정책 집행과 조사통제를 위해 어느 정도 조사계획에의 관여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ㅇ 위원장(부위원장)은 조사계획에 대해서만 결재를 받고 있으며, 추후 현장조사 결과 및 심사 방향 등에 대해 보고를 받거나 구체적인 지시를 하지는 않습니다.

ㅇ 아울러, 위원장(부위원장)이 판단에 공정성을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공정거래법은 제척ㆍ기피ㆍ회피제도가 규정되어 있습니다.

□ 한편, 세계 경쟁당국은 조사와 심판의 조직 분리 등 조직 형태를 자국 사정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 (조직 분리 모델) 캐나다, 호주, 아일랜드(기능 분리 모델) 미국, EU, 프랑스, 독일

ㅇ 따라서, 심판의 독립성과 공정성의 문제는 조직의 형태에 관한 문제라기보다는 어떻게 이를 운용하느냐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에, 공정위는 심판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관은 위원회의 의사결정 과정에 관여할 수 없고 위원회는 사무처의 조사과정에 관여할 수 없도록 기능을 엄격히 분리하고 있습니다.

ㅇ 또한, 같은 조직에서 동시에 기능을 수행함에 따른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절차적 중립성 및 공정성을 담보할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조사단계) 미란다 원칙 고지, 조사 공문 교부, 보관조서ㆍ진술조서 교부, 변호인의 조사과정 참여 등

(심결단계) 심의 공개, 증거자료 열람·복사권, 의견청취절차, 심의속개, 심의출석·의견진술 및 질문권, 증거조사 신청권 등

문의 : 공정거래위원회 심판총괄담당관실(044-200-412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