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3년도 중기부 예산안, 중소·벤처기업 위기극복·성장지원 가능 수준 편성

2022.10.25 기획재정부·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도 중기부 예산안은 중소·벤처기업의 위기극복·성장지원 가능한 수준으로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10월 24일 뉴시스 <중기부 내년 예산, 부처 중 가장 많이 삭감…28% 줄었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와 중소벤처기업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2.10.24.(월) 뉴시스는「중기부 내년 예산, 부처 중 가장 많이 삭감…28% 줄었다」 제하 기사에서 ①중기부 예산이 13.6조원으로 올해 18.8조원 대비 △5.3조원(△28%) 줄어들었으며, ②스마트공장 사업이 3,089→1,057억원(△66%), ③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2,855→2,045억원(△29%), ④벤처창업 지원 예산 16,126→11,478억원(△29%)으로 삭감되었다고 지적

[기재부·중기부 입장]

1.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안 규모 관련

□ '23년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안은 13.6조원으로 코로나19에 따른 한시사업, 사업규모 정상화 등*에 따른 결과

* (한시소요) 소상공인 손실보상(△2.2조원), 소상공인융자(△1.2조원), 지역신용보증지원(△0.5조원) 등(사업규모정상화) 신·기보출연(△0.3조원), 모태펀드(△0.2조원), 중소기업융자(△0.7조원) 등(사업목표달성) 스마트공장(△0.2조원),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0.1조원) 등

ㅇ 코로나 이전인 '19년 10.3조원 대비 +3.3조원(연평균 +7.2%) 확대되어 중소·벤처기업의 위기극복과 성장지원을 위해 충분한 규모 편성

ㅇ 내용 측면에서는 민간중심의 창업·벤처기업 성장사다리 복원, 소상공인 회복·재기 및 경쟁력 강화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생력과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대폭 확대

* (벤처·창업) 민관협력창업지원(+0.1조원), 창업중심대학(+0.02조원) 등(소상공인) 강한소상공인육성(+0.05조원), 재기(+0.03조원), 스마트화지원(+0.03조원) 등

2. 「스마트공장 사업」 관련

□ 정부는「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18.12월)에 따른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목표를 ’22년 내 달성할 예정으로 ’23년 예산은 축소

ㅇ 양적 확대 목표는 달성하였으므로, 구축 수준의 질적 고도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예산(523개소 992억원) 신규 반영

* (국정과제) 신규 공급되는 스마트공장의 40% 이상을 고도화 공장으로 보급

□ 앞으로도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

3.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사업」 관련

□ 정부는 한시사업인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사업계획에 따라 ’23년 이후 신규가입을 종료하되, 장기근속 유도를 위해 기존 가입자 지원은 지속

ㅇ 또한, ’23년부터 고용미스매치가 특히 심한 50인 미만 제조·건설업을 대상으로 한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플러스」 사업을 신규 도입하여 노동시장 시장실패 해소에 노력

□ 향후에도 미스매치 해소 등 청년고용 개선을 지속 노력할 계획

4. 「벤처창업 지원 예산」관련

□ ’23년 창업 및 벤처부문 예산은 4.0조원으로, 규모 측면에서 특이소요* 제외시 지난 5년 평균보다 높고 ’22년과 유사한 수준

* ①모태펀드 출자예산의 경우 그간 대폭 확대된 모태펀드 출자를 감안하여 지난 정부부터 이미 줄여왔으며, ’23년에는 벤처펀드 조성 및 회수재원 발생 등을 감안하여 조정②공공주도 창업사업화·생태계기반구축 등은 민간주도창업지원 확대를 위해 조정

ㅇ 내용 측면에서는 TIPS 연계지원 등 민간주도 지원을 확대하여 창업벤처지원의 효과성 제고

□ 향후에도 민간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벤처창업 지원을 지속할 예정

문의 : 기획재정부 예산실 산업중소벤처예산과(044-215-7310),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044-481-4545)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