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투공 지난해 평가손실 발생, 이례적인 대외 투자환경에 기인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한국투자공사의 2022년도 평가손실 발생은 글로벌 주식·채권 동반 하락 및 달러화 강세 등 이례적인 대외 투자환경에 기인한다”고 밝혔습니다.

2월 16일 한국경제<KIC 지난해 38조 손실 사상 최악>, 파이낸셜뉴스<주식·채권 동반하락에 한국투자공사 작년 38조 날렸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한투공 지난해 평가손실 발생, 이례적인 대외 투자환경에 기인

[기사 내용]

□ 2023.2.16(목) 한국경제, 파이낸셜 뉴스 등은 「KIC 지난해 38조 손실 사상 최악」, 「주식·채권 동반하락에 한국투자공사 작년 38조 날렸다」등의 기사에서

ㅇ 한국투자공사의 지난해 연간 투자손실액이 297억 달러(약 38조원)에 이른다고 보도

[기재부 입장]

□ 한국투자공사(이하 KIC)는 2005년 설립 이래 국부(國富)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신규 자산군 발굴, 적극적 자산배분 등을 수행해 왔습니다.

□ KIC는 2019~2021년 동안 매년 약 10% 내외의 수익률을 기록*해 왔으며, 지난해 낮은 투자수익률은 이례적으로 어려웠던 투자환경과 글로벌 달러 강세에 기인한 것입니다.

* KIC 총자산 수익률: (’19년) 15.4%, (’20년) 13.7%, (’21년) 9.1%

ㅇ  통상적으로 위험자산인 주식 가격 하락시 안전자산인 채권은 방어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2022년은 주식·채권이 동반 하락**하는 어려운 투자환경이 발생하였습니다.

* '08년 금융위기시 글로벌 주식지수(MSCI) -43.5%, 채권지수(Bloomberg) 4.8%

** ’22년 글로벌 주식지수(MSCI) -19.8%, 채권지수(Bloomberg) -16.2%

- 이러한 이유로 2022년 12월 실적을 발표한 해외 기관투자자들 역시 큰 폭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노르웨이 국부펀드(NBIM) -14.1%, 네덜란드 연기금(ABP) -17.6%

ㅇ 또한 KIC는 달러화를 기준으로 수익률을 산출함에 따라, 글로벌 달러 강세 발생1) 시, 자국통화 또는 통화바스켓2)으로 수익률을 산출하는 국내외 타 기관투자자3)에 비해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산출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1) ’21년말 대비 ’22년말 달러인덱스 8.2% 상승(Bloomberg 종가 기준)

2) 보유자산 구성 통화 비중에 따라 수익률을 산출함에 따라 환 변동효과를 배제하고 실질적 자산가치 변동을 분석하는데 도움

3) 노르웨이 국부펀드(NBIM): 통화바스켓, 네덜란드 연기금(ABP): 유로, 국내 연기금: 원화

□ KIC의 지난해 297억불 손실은 실현손실이 아닌 평가손실이며, 추후 대외 투자환경 개선시 평가손실은 회복될 수 있습니다.

ㅇ 참고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였던 2008년 KIC의 수익률은 -17.5%였으나, 2009년 수익률은 17.6%을 기록하여 평가손실을 회복한 바 있습니다.

□ 기획재정부는 KIC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수익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할 계획입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 외화자금과(044-215-473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