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행안부 “지방공사채 발행 최소화 추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올해 5월말까지 발행된 지방공사채 금액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배인 것은 사실이나, 지방공사채 발행금액은 2022년도 전체 지방공사채 발행금액과 대비해 50.4% 수준이고 2023년 5월말까지 전체 채권시장의 발행금액에 대비해 0.8% 수준”이라면서 “지방공사채 발행 최소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6월 7일 파이낸셜뉴스 <‘레고랜드 사태’ 벌써 잊었나…지방공사채 발행 작년의 2배>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 정부 발행 최소화 입김 안 먹혀, 회사채 발행시장 추가악재 우려 

- 지난해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말까지 발행된 지방공사채 금액은 모두 2조 5,332억원. 지난해 같은 기간(1조 2,145억원) 대비 2배 넘게 불어난 수치라는 지적

[행안부 입장]

○ 보도에서 언급된 올해 5월말까지 발행된 지방공사채 금액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배인 것은 사실이나, 

- 올해 5월말까지 지방공사채 발행금액은 ‘22년도 전체 지방공사채 발행금액(5조 252억원)과 대비하여 50.4% 수준이고 ‘23년 5월말까지 전체 채권시장의 발행금액(305조 4,099억원) 대비하여 0.8% 수준입니다.

※ 출처 :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

- 또한, 작년 하반기(‘22.10월경) 행정안전부가 자체 조사한 ‘23년도 지방공사채 발행예정액(6조 3,614억원*) 대비하여 39.8% 수준입니다.

* 차환 3조 1,449억원, 신규발행 3조 2,165억원

○ 행정안전부는 작년 하반기 레고랜드 사태에 대응하여 채권시장 안정화를 위해 가급적 지방공사채 신규 발행을 최소화하고 만기도래 지방공사채 상환을 독려(‘22.11월)한 바 있습니다.

- 다만, 올해 5월말까지 발행금액이 전년 대비 증가한 이유는 수도권 3기 신도시 등 정부 정책사업 추진과 지자체별 도시개발사업 등 사업량 증가로 지방공사채 발행금액도 증가하였습니다.

○ 행정안전부는 지방공사채 발행시 행정안전부장관의 사전승인이 필요한 경우*에 대하여는 새정부의 「지방공공기관 혁신방향」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지방공공기관 재무건전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필수사업 위주로 신규 발행액을 최소화하여 승인하고 있습니다.

* ① 승인신청 당시 부채비율 200% 이상, ② 최근 3년 이상 계속 당기 순손실 발생, ③ 공사채 발행 예정액 300억원 이상

- 이러한 지방공사채 승인기조에 따라 만기도래 공사채에 대하여는 상환토록 하고 있으며,

- 금번 상반기 지방공사채 사전승인 심의과정에서도 서울·부산 등 4개 도시철도공사의 시민안전사업과 경기 등 9개 도시개발공사 등의 ‘23.하반기 필수 집행액을 위주로 당초 신청액(3조 7,217억원) 대비 63% 수준(2조 3,611억원)으로 승인한 바 있습니다.

○ 앞으로도, 지방공공기관의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해 지방공사채 제도를 엄격히 운용해 나가면서 지역내 공공개발사업 등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 ‘21년말 기준 지방공기업 부채비율은 33.8%로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중임

[참고] 지방공사채 발행 승인 제도

문의 :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 공기업관리과(044-205-399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