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노동부 "개정 노동조합법, 실질적 결정권 갖는 근로조건에 한해 교섭의무 부과"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개정 노동조합법은 실질적 결정권을 갖는 근로조건에 한하여 교섭의무를 부과하는 법"이라면서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등 개정 노동조합법의 시행을 차분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9월 5일 서울경제 <중소조선사 하청직원 '원청의 5배' 대형사보다 노란봉투법 피해 더 커>, <"로봇 생산 국내로" 노란봉투법 勞 횡포 점입가경>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노동부 설명]

<노동조합법 시행으로 임금이 상승하여 중소조선사들이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된다는 부분에 관하여>

□ 개정 노동조합법은 원청이 하청노동자의 특정 근로조건에 대해 실질적·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하는 지위에 있는 경우, 그 범위 내에서 노동조합법상 사용자로서 교섭의무를 부담하도록 하고 있음

ㅇ 이에 따라 원청이 사용자로 인정되는 경우에도, 모든 교섭의제에 대해 교섭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하는 특정 근로조건에 한정하여 교섭의무를 부담하며, 

* 법원 및 중노위도 교섭의제별로 각각 검토하여 원청이 실질적·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하는 의제에 한하여 사용자로서 교섭의무를 인정하고 있음

- 하청노동자의 임금에 대해서도 원청의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 여부에 대한 판단 없이 무조건 교섭의무가 인정된다고 볼 수 없음

□ 따라서 노동조합법 개정으로 원청이 모든 하청에 대해, 임금 등 모든 근로조건에 관하여 교섭의무를 부담하게 된다고 보아 기업이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된다는 취지로 주장하는 것은 지나친 과장임

<기업의 대규모 투자나 미래 사업 계획에 노조가 개입할 여지를 크게 넓혀주었다는 부분에 관하여>

□ 이번에 노동조합법 제2조제5호 개정을 통해 노동쟁의의 범위에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경영상의 결정"이 추가되었으나,

ㅇ 단순 투자나 공장증설 등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일반적 가능성만으로 모든 사업경영상의 결정이 노동쟁의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 사업경영상의 결정 중에서도 정리해고와 같이 근로조건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하고 밀접한 경우에 사업경영상의 결정이 노동쟁의의 대상이 되는 것임

□ 따라서 개정 노동조합법에 따르더라도, 기사에서 언급된 기업의 대규모 투자, 미래 사업 계획 그 자체만으로 곧바로 노조가 개입할 수 있다거나 파업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님

<불확실성 우려 해소 계획>

□ 정부는 개정 노동조합법에 따른 기업 등의 불확실성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ㅇ 지난 9월 1일 '노조법 2·3조 개정 현장지원단' TF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노사의 다양한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면서 현장에서 제기되는 주요 쟁점과 우려 사항을 면밀히 파악·검토해 나갈 것임 

ㅇ 또한, 지방고용노동관서를 통해서도 노동조합법 2·3조에 취약할 수 있는 권역별 주요 기업들을 진단하고, 필요시 교섭 과정에서의 컨설팅 등을 지원하여 원하청이 상생할 수 있는 교섭사례를 창출해 나갈 예정임

ㅇ 아울러, 판례 등 검토, 전문가 논의, 노사 의견수렴 등을 통해 원청의 사용자성 판단기준, 교섭 절차, 노동쟁의의 범위 등에 대한 구체적 지침·매뉴얼을 마련해나갈 계획임

□ 이와 같이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등 개정 노동조합법의 시행을 차분히 준비해 나가겠음

문의 : 고용노동부 노사협력정책관 노사관계법제과(044-202-7615)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