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희생자 유실 방지 위해 최선의 노력”

2014.05.09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세월호 침몰사고에 따른 희생자 유실 방지를 위해 조류흐름 등 현장여건을 고려하고 가장 효과적으로 유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어선투입과 그물 설치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고대책본부는 8일자 내일신문의 <실종자 유실대책, 실패 인정 않고 ‘운’에만 맡겨>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대책본부는 우선 침몰지점으로부터 약 1.5km 떨어진 지점에 중형저인망을 투입, 세월호 선체를 중심으로 밀물(조류 방향 : 남동쪽 → 북서쪽)때는 북서쪽에, 썰물(조류 방향 : 북서쪽 → 남동쪽)때는 남동쪽에 폭 약 200미터, 높이 50미터의 그물 2개를 펼쳤다.

그물은 끌어당기지 않고 엔진에 의해 형상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실종자와 유류품 유실을 방지하고 있다.

또 닻자망의 그물높이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저부터 표층까지 유실방지가 가능한 안강망(높이 40미터, 폭 50미터)을 적정규모로 설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고해역 주변 섬의 해안가에 낭장망을 지속 설치해 실종자와 유실물이 섬 해안으로 밀려올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이로써 침몰지점으로부터 약 5km 안에는 중형저인망과 안강망이, 그 외측으로는 닻자망, 대형저인망(8~15km), 안강망이 순차적으로 배치돼 유실 방지를 위한 5중 차단장치를 가동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문기관의 해류이동 모델을 활용해 실종자가 표류할 경우 발견이 가능한 최대범위인 침몰지점으로부터 80km 해역까지 선박과 항공기를 이용한 해상 및 항공 수색을 실시하고 있다.

해저에 가라앉은 희생자 수색을 위해 해양조사선을 동원, 해저영상탐사도 실시하고 있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앞으로도 희생자 유실 방지 대책 추진 성과를 지속 점검해 보강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