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법무부, 법원의 변호사 시험 석차 공개 판결에 항소 예정

2020.01.14 법무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법무부는 “성적과 석차는 명백히 다른 개념이고, 성적 공개와 석차 공개가 법학전문대학원 및 변호사시험 제도에 미치는 파급력이 확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심 판결은 이를 간과하는 등 법리를 오해한 점이 있다 ”며 “추후 해당 원심 판결에 대해 항소해 적극적으로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1월 13일 연합뉴스 <법원 “변호사시험 석차 공개하라…경쟁 투명성·공정성 제고”>, 조선일보 <법원 “법무부, 변호사시험 석차 공개하라” 첫 판결>에 대한 설명입니다.

[법무부 설명]

□ 국회는 입법과정에서 석차를 제외한 성적만을 공개하도록 의견 수렴

○ 변호사시험 성적을 비공개하였던 옛「변호사시험법」을 개정함에 있어 성적 및 석차를 모두 공개하자는 논의가 존재하였으나 ①성적과 석차를 구별하여 성적만을 공개하도록 한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의 취지 ②변호사시험의 자격시험적 성격 ③법학전문대학원 교육 형해화 등 폐해 최소화 ④석차 공개로 인한 개인별ㆍ대학별 서열화 방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회는 변호사시험 석차를 제외한 성적만을 공개 대상으로 규정한 바 있습니다.

○ 이에 따라 현행「변호사시험법」제18조 제1항은 “시험에 응시한 사람은 해당 시험의 합격자 발표일부터 1년 내에 법무부장관에게 본인의 성적 공개를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법무부장관은 청구한 사람에 대하여 그 성적을 공개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여 석차를 제외한 성적만을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위와 같은 입법자의 결단을 존중하여 법무부는 현재 변호사시험 성적만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 원심 판결에는 법리를 오해한 부분이 존재

○ 성적과 석차는 명백히 다른 개념이고, 성적 공개와 석차 공개가 법학전문대학원 및 변호사시험 제도에 미치는 파급력이 확연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심 판결은 이를 간과하는 등 법리를 오해한 점이 있습니다.

○ 아울러 회계사, 세무사, 변리사 등 자격시험의 경우에도 합격자의 석차를 공개하지 않으며, 5급 공채시험 및 법원행정고등고시와 같은 선발시험 역시 석차를 공개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호사시험만 별도로 석차를 공개하여야 할 이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추후 법무부는 해당 원심 판결에 대하여 항소하여 적극적으로 다툴 예정입니다.

문의 : 법무부 법무실 법조인력과(02-2110-3528)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