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고용보험기금, 코로나 위기 극복 위해 필요한 정책에 활용

2021.07.13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고용보험기금은 선심성 정책이 아닌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강화 등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7월 13일 조선일보 <밑빠진 고용보험, 세금 1조2400억 또 투입>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 이 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말 10조2544억원에 달하던 기금 적립금은 지난해 1조9999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소득주도성장 경제 정책 등으로 고용 시장이 악화된 데다 각종 선심성 정책에 기금을 대거 활용했기 때문이다. 현 정부는 실업급여의 지급액을 올리고, 수습 기간을 늘렸고, 청년 고용추가장려금 등 각종 지원사업을 신설·확대 했다.

ㅇ 전문가들은 그동안 ‘정부가 세금으로 진행해야 할 사업들을 고용보험기금으로 운용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노사가 만든 기금을 ‘쌈짓돈’ 삼아 각종 선심성 정책을 펴 왔다는 것이다. 정부가 생색을 내며 기금 운용을 방만하게 해놓고, 그 구멍을 결국 국민 세금으로 때운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용부 설명]

① 코로나19 고용위기 극복과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 청년실업 해소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추진은 정부의 본연의 역할임

ㅇ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를 통해 코로나 위기 극복과정에서 실직자 생계안정과 재취업을 적극 지원하였으며,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19.10월): ▲실업급여 지급수준 인상(평균임금 50% → 60%), ▲실업급여 지급기간 연장(90~240일 → 120~270일)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6.7만개 기업에서 37.5만명의 청년을 추가로 고용하는 등 청년 일자리 확대 및 중소·중견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하였음 

- 이외에도 2020년 기준 7.2만개 기업에 77.3만명의 해고를 막고 고용유지를 지원하는 등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고용보험기금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

② 다만, 코로나 위기 대응에 따라 고용보험기금의 재정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가능성, 현장의 지원수준 및 대상 확대 요구에 따른 지원 필요성 등을 감안하여 이번 추경에 일반회계 전입금이 반영된 것임

ㅇ 추경 예산이 편성되면 고용위기 극복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집행에 만전을 기하여 불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할 것임

ㅇ 한편, 악화된 고용보험기금의 재정건전화를 위해 노사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고용보험제도개선TF에서 재정건전화 방안도 논의 중임

문의 : 고용노동부 고용보험기획과(044-202-735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