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7월 13일 오늘의 바로잡는 언론보도

2021.07.13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2021년 7월 13일, 언론보도에 대한 해당 부처의 입장과 설명입니다.

◎[보도내용] 매일경제 <LNG 장기계약 속속 만료…3년후 수급 비상>  2024년 900만t 공급 공백, 추가계약 실패 땐 비용 급증, 탈원전·탈석탄에 수요 느는데 LNG 가격 올라 전기료 압박
☞[산업부 설명]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을 위해 2년마다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근거로 수급 필요성과 가격 적정성 등을 고려하여 천연가스를 도입하고 있음
이에 필요물량의 최소 70% 이상은 중·장기계약을 통해 확보하고 있으며, 나머지 물량은 현물구매 등을 통해 이상기온 등과 같은 단기적 수요 변동에 대응
보도내용과 같이 2024년에 연간 약 900만톤의 장기계약이 종료된다는 단편적인 사실만으로 가스수급 공백이 온다는 주장은 근거가 매우 부족함
① 장기계약은 통상 실제 공급의 2~3년 이전에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2025년 신규 물량 확보까지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음
② 이에 가스공사는 ‘제13차(2018년 발표), 제14차(2021년 발표)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상 수요전망을 바탕으로, 이미 다양한 공급사들과 긴밀하게 장기계약건을 협의하고 있음(동 계약조건이 합의되는 대로 대외발표할 예정)
③ 한편, 과거 천연가스 수요가 급증했던 기간에도 장기계약 체결은 차질없이 진행된 바 있음
산업부와 가스공사는 이같은 안정적인 장기계약 체결을 통해 천연가스 가격의 단기적 상승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리스크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보도내용] 조선일보 <밑 빠진 고용보험, 세금 1조 2400억 또 투입> 공공기금 3조 빌리고도 모자라 고용사업 지출 늘자 추경 반영, “정부, 노사가 만든 기금을 쌈짓돈 삼아 각종 선심성 정책”
☞[고용부 설명] 코로나19 고용위기 극복과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 청년실업 해소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추진은 정부 본연의 역할임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를 통해 코로나 위기 극복과정에서 실직자 생계안정과 재취업을 적극 지원했으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6만 7000개 기업에서 37만 5000명의 청년을 추가로 고용하는 등 청년 일자리 확대 및 중소·중견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했음
이외에도 2020년 기준 7만 2000개 기업에 77만 3000명의 해고를 막고 고용유지를 지원하는 등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고용보험기금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
다만, 코로나 위기대응에 따라 고용보험기금 재정이 악화된 상황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가능성, 현장의 지원수준 및 대상 확대 요구에 따른 지원 필요성 등을 감안하여 이번 추경에 일반회계 전입금이 반영된 것임
추경 예산이 편성되면 고용위기 극복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집행에 만전을 기해 불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할 것임
한편, 악화된 고용보험기금의 재정건전화를 위해 노사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고용보험제도개선TF에서 재정건전화 방안도 논의 중임

◎[보도내용] 머니투데이 <월 상환액 87만원 vs 126만원…40년 보금자리론의 배신?> 40년 만기 보금자리론에 대한 30대 수요자들의 반응이 차가우며, 이는 차주에게 유리한 체증식 방식을 도입하지 않았기 때문
☞[금융위 설명] 40년 만기 모기지는 7월 1일 이후 보금자리론 신청 건의 약 20%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원활하게 시장에 안착
특히 40년 만기를 선택할 수 있는 만 39세 이하 차주 신청 중 26%가 40년 만기로서, ‘수요자들의 반응이 차갑다’거나 ‘실효성이 없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다만, 40년 보금자리론에 체증식 상환방식을 도입하지 않은 것은 초반에 원금보다 이자 중심으로 상환하는 특성 때문에 현재 30년 모기지에서도 약 6% 밖에 활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40년 모기지에 체증식 상환을 적용할 경우 ①가입 초기 상당기간 원금을 거의 갚지 않는 구조로 ‘원금을 갚아나가는’ 분할상환 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며 ②40년간 총 이자상환부담도 원리금균등상환은 2억 4900만 원인 반면 40년간 체증식 상환은 총 2억 9200만 원으로 오히려 더 불리한 점을 등을 고려해 (원금 3억 6000만 원 기준) 원금을 갚아나가는 상환방식을 중심으로 도입한 것임//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