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코로나19 위기 시기 고용안전망 강화는 고용보험기금 본연의 역할이며, 선심성 정책을 편 것으로 볼 수 없다”면서 “노사와 함께 중장기적인 재정건전화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8월 10일 이투데이 <거덜나는 고용보험, 또 보험료 올린다는 정부>, 파이낸셜뉴스 <바닥 보이는 고용보험, 마이너스 눈앞…2년만에 재인상 저울질>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1. 이투데이 기사 관련
ㅇ (전략) 보험 기금을 멋대로 방만하게 운영하면서 기금 부실화가 가속된 것이다.
ㅇ (중략) 청년고용 추가장려금, 고용유지지원금 등의 선심성 지원금 제도를 신설해 사업비를 고용보험기금에서 끌어다 썼다. 보험설계사·학습지 교사 등 특수고용직도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했다. 보험기금의 안정성을 무시하고 무분별하게 돈 나갈 곳만 늘린 탓에 기금재정이 급속도로 나빠졌다.
ㅇ 결국 정부는 보험료를 더 걷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2. 파이낸셜 기사 관련
ㅇ (전략) 구멍난 적립금을 메꾸기 위해 고용노동부는 고용보험료율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ㅇ (중략) 하반기 1조원대 실업급여 지급이 이어질 경우 빠듯한 수치다.
[고용부 반박]
☞ 코로나19 고용위기 극복과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청년실업 해소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추진은 고용보험기금 본연의 역할이며, “선심성 정책을 편 것”으로 볼 수 없음
□ OECD 주요국에 비해 낮은 실업급여 보장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는 것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
ㅇ 우리나라의 실업급여 지급수준이나 지급기간은 OECD 주요국에 비해 낮아 실업급여 보장성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 제기
OECD 주요국 실업급여 보장성 비교(2020년 기준)
ㅇ 정부는 노·사가 참여하는 고용보험위원회 의결을 거쳐 실업급여의 보장성 강화와 함께 재정 안정화 조치*를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