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비상급수시설 수질관리에 만전 기하겠다

2021.08.13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부산시 비상급수시설에 대해 지적된 수질검사의 부적합 내용은 개선대책을 마련해 상수도 공급 중단 시 지역 주민에 대한 안정적 용수 공급을 위해 평시 수질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8월 12일 내일신문 <부산시 비상급수시설 대장균 ‘득실득실’>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부산,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수질검사 부적합 건수*가 민간 등의 일반 지하수시설 보다 높은 점을 지적(일반 지하수시설 1,219개소 중 50건)

* 부산 비상급수시설 362개(’20년말 기준)의 수질검사 2,032건 중 912건

[행안부 입장]

○ 부산시의 일반 지하수시설 1,219개소에 대해서는 2년에 1회 검사를 통해 50개소(건)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사항이며,

○ 민방위 비상급수시설(362개소)은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주민에게 안정적 용수 공급을 위해 일반 지하수시설과 달리 강화된 검사 기준으로 매년 4회의 수질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비상급수시설(음용수) 연 4회 / 일반 지하수시설(음용수) 2년에 1회

- 이에 따라, 비상급수시설 362개소에 대해 정기검사 4회 및 추가 재검사를 2,032회 실시하였고, 그 중 912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사항입니다.

* ‘20년 부산시 비상급수시설 362개소 중 최종 부적합 시설은 17개소임

○ 지적된 수질검사의 부적합 내용과 관련해서는 시설관리 및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채취 방법 교육* 등의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지역 주민에게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일반 지하수시설은 전문요원이 시료를 채취하는 반면, 비상급수시설은 일반 공무원이 시료를 채취하여 일부 오염에 따른 부적합 발생 가능 

문의 : 행정안전부 민방위과(044-205-437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