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내년도 보건의료 예산, 올해 본예산 대비 대폭 확충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2022년 보건의료 예산은 2021년 본예산 대비 대폭 확충됐다”고 밝혔습니다.

11월 4일 한국일보 <‘칼질당한’ 공공의료 확충 예산>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21.11.4.(목) 한국일보 「‘칼질당한’ 공공의료 확충 예산」제하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

ㅇ 코로나19 위험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보건의료 예산은 15.7% (‘21년 5조 969억원 → ’22년 4조 2,963억원), 공공의료 관련 예산은 34.6%(2조 4,258억원 → 1조 5,873억원) 감소

ㅇ ‘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 예산은 ‘20년 수준으로 회귀, ‘감염병 대응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예산은 1조원 감액, ‘보건의료서비스’ 예산도 53.6%(1,940억원→ 900억원) 감액

[정부 입장]

□ 정부가 ‘22년 예산안에서 보건·공공의료 예산을 대폭 삭감하였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ㅇ 정부는 ‘20~’21년에는 추경·예비비로 대부분 지원하였던 코로나19 대응 예산*을 ‘22년에는 본예산으로 편성하였으며, 

* 의료기관 등 손실보상, 생활치료센터 운영, 파견의료인력 지원 등 

ㅇ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 보건·공공의료 예산은 ’21년 본예산 대비 ‘22년에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보건의료(부문) 및 공공보건의료확충(프로그램) 예산 증감

□ 정부는 ①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 ②감염병 대응 지원체계 구축·운영 ③보건의료서비스도 차질 없이 지원 중입니다.

① 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를 위한 투자는 지속 확대 중* 

* 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 본예산: (‘20) 1,264억원 → (’21) 1,433억원 → (‘22안) 1,657억원

- 지방의료원/적십자병원 기능 강화를 위해 실집행률 부진*에도 불구하고 ’22년 예산안에 금년 1,200억원 대비 대폭 증가(14.5%)된 1,374억원을 편성하여 지방의료원 등 신·증축을 위한 충분한 예산 반영**

* 최근 3년(‘18~’20년) 평균 실집행률 58.9%

** 「공공의료체계 강화 방안」(‘20.12.13, 정부합동)에서 발표한 증축계획 11개소 중 ’21년까지 지원 완료된 2개소를 제외한 9개소 예산 반영하여 차질없이 진행 중

② ‘20~‘21년에는 전액 추경·예비비로 지원하던 ’의료기관 등 손실보상‘, ’생활치료센터 운영지원‘ 등의 사업도 ’22년에는 본예산으로 편성·지원

* 감염병 대응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21년 본예산) 미반영 → (’22년안) 8,704억원

③ ‘호흡기 전담 클리닉 설치운영 지원’(‘20~’21년, ‘21년 500억원),  ‘약국 비대면 체온계 설치지원’(‘21년 추경 82억원) 사업 등은 설치 완료에 따라 추가지원 필요성이 없으며, 

- ‘의료기관 등 방역 지원’(’21년 추경 348억원)은 코로나19의 즉각적인 대응을 위한 일회성 지원으로 이들 사업 제외시 ‘21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편성

문의 : 기획재정부 연금보건예산과(044-215-7530), 보건복지부 재정운용담당(044-202-232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