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법무부 “법과 원칙 지키며 수용관리에 최선”

2021.12.31 법무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법무부는 “법과 원칙을 지키며 수용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2월 29일 채널A <출소 한 달 앞…“교도관 헤드록에 뇌사” 주장>에 대한 법무부의 설명입니다

[법무부 설명]

상기 제하 보도내용과 관련하여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이해를 돕고자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 사건 경위

○ 해당 수용자는 ‘21. 12. 22.(수) 포항교도소에서 다른 수용자와의 다툼 문제로 직원과 대화 중 갑자기 책상에 머리를 강하게 부딪히는 등의 자해행위가 있었고, 이를 제지하고 진정시키는 과정에서 호흡이 약해지는 것을 인지, 제세동기·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를 한 뒤 신속히 외부의료시설로 후송하였습니다.

□ “교도관의 헤드록에 의해 뇌사 상태”라는 보도와 관련,

○ 현장에 있던 직원들이 수용자의 자해행위를 제지하고 진정시키는 과정이 있었고 이는 형집행법 제100조(강제력 행사)에 근거해 수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 “의무팀이 올 때까지 응급처치도 없었다”는 보도와 관련,

○ 당시 현장에 있던 직원들은 몸부림치며 자해하던 수용자를 진정시켜 소파에 앉아 편한 자세를 취하게 하였고, 수용자를 진정시키는 과정에서 호흡이 약해지는 것을 인지하고 호흡과 맥박을 살피면서 간호사가 산소포화도·혈압 등을 체크한 후, 제세동기 사용 및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서 외부의료시설로 후송하였습니다.

○ 따라서 “의무팀이 올 때까지 응급처치도 없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 “신병인수포기서 제출을 강요하였다”는 보도와 관련,

○ 해당 수용자는 입원 중 건강상태 악화에 따라 형 집행정지 결정이 되었고,

○ 포항교도소는 사고 직후 가족들에게 사고 경위 전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입원의 장기화 및 진료비 부담 등을 고민하는 가족에게 무연고자를 도와주는 사회복지시설 및 그와 연계된 병원으로 입원시키는 방안을 안내하였습니다.

○ 또한, 이러한 설명을 듣고 그 자리에 있던 가족들이 의논 후 신병인수포기서를 작성한 것으로 가족에게 신병인수포기서 작성을 강요하였다는 언론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 통상 가족들의 경제적 사정 등에 따라 형(구속)집행정지 출소자의 신병인수가 어려울 경우, 가족의 ‘신병인수포기서’를 접수받아 일시보호 또는 사회복지재단과 연계된 병원으로 이송하여 지속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음

□ 법무부는 이번 교정사고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의혹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대구지방교정청에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였으며, 앞으로도 법과 원칙을 지키며 수용관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문의 : 법무부 교정본부 보안과(02-2110-338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