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최근 4년간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증가의 원인과 시사점 설명

2022.02.17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최근 4년간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증가의 원인과 시사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2월 15일 세계일보 <문 정부 4년 근소세 40% 증가, ‘봉’ 직장인 과표 개편해야>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최근 4년 사이 근로소득세 국세수입이 38.9% 증가한 사실을 근거로 현정부들어 월급에서 떼어가는 세금이 40% 가까이 증가했고, 과표 구간이 장기간 유지되면서 물가상승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문제라고 보도했습니다.

※(관련 기사)「문 정부 4년 근소세 40% 증가, ‘봉’ 직장인 과표 개편해야」(세계일보 외)

[기재부 입장]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증가 원인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증가의 원인은 일자리와 임금의 증가, 소득세 최고세율 인상과 누진세율 체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 (’17년) 34.0조원 → (’21년) 47.2조원(38.8%)

① 일자리(근로자 수)가 증가하였습니다.’21년 상용근로자 수는 ’17년 대비 10.8%* 증가하였습니다.

* (’17년) 1,343만명 → (’21년) 1,489만명 (통계청 취업자 수 통계)

② 근로자의 임금이 상승하였습니다.’21년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임금은 ’17년 대비 16.8%* 증가하였습니다.

* (’17년 월평균임금) 285만원 → (’21년) 334만원 (통계청 월평균임금 통계)

③ 소득재분배 기능 강화, 코로나 위기극복을 위한 사회연대강화 등을 위해 고소득층 소득세율을 인상하였으나 중산·서민에 대한 세율인상은 없었습니다. 

- ’17년에는 과세표준 3억원 초과 근로자의 세율을 각 2%,’20년에는 과세표준 10억원 초과 근로자의 세율을 3% 인상하였습니다.

* 개정연도 (’17년) 과세표준 3∼5억원 이하 38% → 40%, 과세표준 5억원 초과 40% → 42%(’20년)과세표준 10억원 초과 42% → 45%

④ 우리나라의 소득세는 소득재분배 기능을 위해 누진세율 체계를 가지고 있어 소득이 많을수록 부담도 커지는 구조입니다.

* (사례) ’17년 과세표준 4,400만원(총급여 7,200만원 수준) 근로자 산출세액: 552만원

→ ’21년 과세표준 4,840만원(10% 증가)으로 상승 시 산출세액: 640만원(15.9% 증가)

평가 및 시사점

1. 지난 4년간 근로소득세수 증가율은 이전 기간(’09∼’17년)에 비해 높은 편이 아닙니다.

□근로소득세 국세수입은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득세 누진세율 구조 하에서 근로자 수와 임금 증가 등을 원인으로 ’09년 이후 매 4년간 38.8∼63.6%의 범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습니다.

ㅇ최근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증가율은 그 이전 기간에 비해 높은 편이 아닙니다.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추이>

□그 간의 근로소득세 국세수입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온 것은 우리나라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일자리가 늘고 임금이 상승한 것에 기인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상용근로자 수(만명) (’09년) 948→(’13년) 1,185(25.0%↑)→(’17년) 1,343(13.3%↑)→(’21년)1,489(10.8%↑)정규직 월평균임금(만원) (’09년) 220→(’13년) 255(15.9%↑)→(’17년) 285(11.8%↑) → (’21년)334(16.8%↑)

2. 총급여 3억원 이하 구간의 실효세율은 거의 변동이 없습니다.

□총급여 대비 세부담을 의미하는 실효세율*을 살펴보면,

* 실효세율 = 결정세액 / 총급여액

ㅇ공제축소, 세율 인상 등 조세정책의 변화가 없었던 총급여 3억원 이하 구간(전체 근로자의 99.8%)의 실효세율은 ’17년 대비 △0.1∼0.2%p 증감으로 세부담 변동이 거의 없고, 적용되는 실효세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ㅇ반면, 총급여 3억원 초과 구간의 실효세율은 0.3∼5.4%p 상승하여 고소득층에 대한 세부담이 증가하였습니다.

<과세대상 근로소득 구간별 실효세율>

3. 근로자 1인의 세금이 4년 전 보다 약 40% 증가한 것이 아닙니다.

□ 근로자 수가 증가하면 근로자가 납부하는 세금인 근로소득세 국세수입 규모도 함께 증가하게 됩니다.

ㅇ근로소득세 국세수입은 근로자 수 증가와 고소득층에 대한 세율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4년 전보다 38.8% 증가한 것이며, 근로자 1인의 세금이 그렇게 증가한 것은 아닙니다. 

4. 전반적인 소득세 부담 정도에 대한 평가는 우리나라의 GDP대비 소득세 비중·면세자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우리나라의 GDP대비 소득세 비중은 근로소득세 국세수입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외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주요국의 GDP대비 소득세 비중 (’20년)>

□근로소득자의 면세자 비중은 37.2%로 ’14년 이후 계속해서 줄어들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외국*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 ’17년 기준: (미국) 29.3%, (캐나다) 17.6%, (일본) 15.1%, (호주) 14.9%

<근로소득자 중 면세자 추이>

□과세표준 구간 개편 등 전반적인 소득세 부담 조정 관련 논의 시에는 소득세·면세자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및 세율 연혁 등

[참고]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및 세율 연혁 등

문의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044-215-421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