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주민등록 사실조사로 전입신고 관리 만전 기하고 있어

2022.02.22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통해 전입신고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월 20일 KBS <‘농막’ 짓고 위장전입…보조금까지 챙겨>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실제로는 다른 곳에 살면서 농막으로 주소만 옮겨놓는 위장전입신고를 통해 농촌 주민으로 인정돼 각종 보조금을 받는 사례가 늘고 있음

[행안부 입장]

□ 주민등록제도는「주민등록법」에 따라 주민의 거주관계 등 인구의 동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운영중입니다.(법 제1조) 특히 농막전입신고에 대해서는 해당 주민이 30일 이상 거주할 목적*으로 신고를 하는지 여부, 농막에서 주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제반 상황,거주 이전의 자유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신고를 수리하고 있습니다. 

* (법 제6조)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30일 이상 거주할 목적으로 그 관할 구역에 주소나 거소를 가진 다음 각 호의 사람을 이 법의 규정에 따라 등록하여야 한다.

□ 다만, 거주관계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확인 및 주기적인 사실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위장전입 등 주민등록 관련 거짓의 사실을 신고한 경우 「주민등록법」*에 따라 고발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법 제37조 3의2) 주민등록에 관하여 거짓의 사실을 신고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주민등록법 제37조 제3의2호 ‘주민등록 또는 주민등록증에 관하여 거짓의 사실을 신고 또는 신청한 사람’에 대한 고발 현황

(’16) 195건 → (’17) 151건 → (’18) 104건 → (’19) 99건 → (’20) 102건

□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주민등록 사후확인과 사실조사를 철저히하여 정확한 인구동태 파악과 전입신고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주민과(044-205-314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