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교육부 소관 연구과제, 관련 법령에 따라 철저히 관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교육부는 “소관 연구과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철저히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9월 27일 연합뉴스 <8년 간 교육부 소관 국책연구 중단에 1천240억 원 손실> 등 다수 언론 보도에 대한 교육부의 설명입니다

[교육부 설명]

□ ‘교육부 소관 연구과제*(한국연구재단 위탁, 2015~2022 기준)’의 총 개수는 120,993개(5조 3,499억 원)입니다.

* 학문후속세대 양성사업, 창의도전기반지원 사업, 글로벌박사펠로우십 사업, 기본연구지원사업 등 25개(종료 사업 포함)의 과제

ㅇ 이중 기사에서 언급된 ‘연구기간을 모두 마치지 못하고 중단된 과제 수’는 3,120개(1,248억 원, 연 156억 원)입니다. 

※ 전체 과제 대비 중단과제 비율 : 과제 수 기준 2.6%, 금액 기준 2.3%

□ 기사에 언급된 1,248억 원은 중단된 연구과제의 전체 연구비*이며, 과제 중단으로 반납(정당한 사유)하거나 환수(정당하지 않은 사유)해야 하는 연구비와는 다릅니다. 

* 연구과제가 중단된 해당연도의 전체 연구비

ㅇ 반납 금액은 ‘중단일’을 기준으로 산정되고, 환수 금액은 제재처분을 통해 확정되며, 반납되거나 환수되는 금액은 모두 국고로 편입됩니다.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국가연구개발혁신법」제34조(제재처분의 사후관리)에 따라, 환수처분을 받은 자가 환수금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기간을 정하여 독촉을 하고, 그 지정된 기간 내에 환수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

□ 사업 시행계획 및 신청요강 등에 따라 연구과제 중단 사유는 ‘정당한 사유’와 ‘정당하지 않은 사유’로 구분됩니다.

과제중단 신청이 가능한 정당한 사유(이공학술연구기반구축 지원 사업 예시).

□ 정당한 사유로 인한 연구수행 포기 시,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즉시 한국연구재단에 승인을 요청하고 정산절차를 거쳐 잔액을 반납해야 하며, 추가적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ㅇ 또한, 연구자는 최종보고서를 필수로 제출해야 하며, 성과가 발생한 경우 한국연구재단 성과관리시스템(eR&D)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정당하지 않은 사유로 과제를 중단하는 경우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32조 제1항 제4호에 해당하여, ‘참여제한, 제재부가금 부과, 연구개발비 환수’ 등의 제재처분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습니다.

ㅇ 환수율은 ‘중단된 연구과제의 전체 연구비’가 아닌, ‘환수해야 하는 금액 기준’으로 계산해야 하며, 0.6%의 수치는 사실과 다릅니다.

□ 앞으로도 교육부는 관련 법령 등에 따라 사업 관리를 철저히 하겠으며, 연구자의 연구 활동 지원을 통해 창의적 성과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문의: 교육부 대학학술정책관 학술진흥과(044-203-687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