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행안부 “타 상호금융권과 동일 규제로 안전 관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새마을금고 위원회 구성과 관련하여 보도된 기사는 사실과 다르며, 타 상호금융권과 동일한 규제로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4월 17일 디지털타임스<행안부의 MG부실 ‘뒷북 대응’>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4월 17일(월) 디지털타임스 <행안부의 MG부실 ‘뒷북 대응’> 제하의 보도임 

- 타 금융권과 달리 새마을금고는 행안부 관리로 위기대응 등 부실 우려가 큼

- 새마을금고의 부동산 관련 대출에 대한 내부 리스크 관리 대응이 상호금융권과 비교해 한발 늦었다고 지적

-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독권 고집 이유를 기득권 유지* 차원으로 보는 시각도 있음

* 새마을금고 인사위원회 위원 7명 중 1명을 행안부 추천 등

[행안부 입장]

<리스크 관리 대응이 타 상호금융권에 비해 늦음>

□ 새마을금고의 리스크 관리는 타 상호금융권과 같이 대응하고 있습니다.

ㅇ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22.6월부터 자체 가이드라인을 5차례 걸쳐 강화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 특히 지난해 11월, 4차 가이드라인을 통해 부동산 공동·집단대출에 대한 원칙적 취급 제한조치를 실시하였음

- 또한 올해 4월, 여신업무방법서(내규) 개정*을 통해 공동대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였음

* 부동산·건설업 각 1/3, 부동산 + 건설업 1/2 이내 공동대출 취급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독권 관련>

□ 현재 ’새마을금고 인사위원회 위원‘ 및 ’예금자보호준비금 위원‘에 행정안전부 퇴직 공무원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새마을금고에 대한 행안부 관리>

□ 現 감독체계 내에서도 충분히 관리되고 있습니다.  

ㅇ 부동산 대출 가이드라인*을 통해 업종별 여신한도 규제**, 대손충당금 적립률 상향*** 등 타 상호금융권과 동일 수준의 건전성 규제 적용 추진하고 있음

* 공동대출 사업비 대출 원칙적 취급금지, 특히 연체 및 예대율 과다금고는 신규 취급금지 등

** 총 여신 중 부동산 대출 30%, 건설업 대출 30%, 부동산+건설업 대출 50%

*** 부동산·건설업 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률 상향(100 → 130%) 등

ㅇ 이와 함께, 범정부 차원에서도 상호금융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새마을금고 전반에 대한 건전성 관리 강화 중

* 상호금융권 건전성 현황 점검 및 감독기관 간 정책공조 등을 위한 회의

ㅇ 아울러, 외부기관과의 협력적 감사* 등을 통해 관리 지속 강화

* 예보 등 외부전문기관 참여 법적근거 명확화(새마을금고법 개정, ’23.4월)

※ 우리부는 매년 금융위, 금감원,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대한 종합감사 및 지역금고에 대한 합동감사를 철저히 시행하고 있음

문의 :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 지역금융지원과(044-205-3955)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