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반도체 대기업 세금 감면액은 과다추정된 규모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기사에서 보도한 반도체 대기업 세금 감면액(5년간 13조원)은 과다추정된 규모”라고 밝혔습니다.

5월 22일 경향신문(가판) <반도체 대기업 세금, 5년간 13조 감면…세수기반 악화우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입장입니다

카드뉴스

[기사 내용]

ㅇ 정부가 반도체에 투자한 대기업 등 기업에 깎아주는 세금이 내년에만 4조4000억원이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향후 5년간 감면액은 13조원으로 지난 세법개정에 따른 5년간 전체 법인세 감면추정액(27조4000억원)의 절반에 달한다.

[기재부 입장]

□ 기사에서 보도한 세액공제 규모 ‘5년간 13조원’은 과다 추정되었습니다. 

① 금년 3월까지 연구개발세액공제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국가전략기술로 인정된 대부분이 ‘22년 이전 투자 건으로, 대기업의 경우 세액공제율은 15%(’23년 이후 적용)가 아닌 6%가 적용됩니다. 동 기사에서는 해당 투자 건을 모두 금년 이후 대기업 투자 건으로 간주하여 공제율 15%를 일률 적용함으로써 세액공제 규모가 과다 추정된 측면이 있습니다.

② 금년에 한해 도입된 임시투자세액공제는 일반 및 신성장·원천기술 시설투자에 대한 기본공제율 상향(2~6%p 인상)과 추가공제율 상향(3→10%), 국가전략기술 시설투자에 대한 추가공제율 상향(4→10%)으로 구성됩니다. 임시투자세액공제 규모 상당 부분이 일반 및 신성장·원천기술 시설투자에 집중되어 있는바, 임시투자세액공제 전체 세수감 2.3조원을 합산하여 추정된 ‘반도체 대기업 5년간 13조원’은 과도한 수준입니다.

□ 국가전략기술 제도 확대는 주요 첨단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며, 중장기적인 세원 확대 방안입니다.

ㅇ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대한 각국의 패권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3월 여야 합의로 국가전략기술 세제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ㅇ 투자세액공제제도는 ‘투자를 해야만 세액공제를 받는 제도’로 가장 확실한 투자 활성화 방안입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은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대표적 분야로, 강력한 선도기업의 투자는 중소·중견 협력업체의 소재·부품·장비 수요 창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ㅇ 따라서, 대기업의 투자 확대는 대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뿐만 아니라, 중소·중견 협력업체의 매출·고용 증가로도 이어져 법인세·소득세 등 중장기 세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세제실 조세특례제도과(044-215-413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