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정책 모아보기 국민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정책 모아보기 국민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콘텐츠 영역

행안부 “침수위험지구 지정 및 정비사업 개선대책 마련”

2023.06.09 행정안전부
인쇄 목록

행정안전부는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이 빠짐없이 침수위험지구로 지정되도록 하고 정비사업 개선대책도 마련해 정착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6월 8일 조선일보 <“집값 떨어진다” 민원 핑계로 침수 예방사업 손놓은 지자체>, 매일경제 <주거·상가 침수 예상돼도 지자체, 위험지구 지정안해>, 국민, 한겨레, 연합 등 다수 보도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 감사원 감사 결과, ‘18~‘22년까지 지정된 침수위험지구 369곳 가운데 142곳에서 민원 발생을 이유로 침수예상지역인 주거지와 상가지역과 무관한 도로, 하천 등만 관련 지구로 지정한 것으로 드러나…

- 2023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72개) 및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26개) 재검토 결과 투자우선순위가 낮은데 사업대상으로 선정, 우선순위가 높은데도 미선정 또는 후순위로 신청해 미선정되는 사례 발생

[행안부 입장]

□ 행안부는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이 빠짐없이 침수위험지구로 지정되도록 하고 투자우선순위에 부합되게 정비가 되도록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정착시키겠습니다.

○ 행안부는 과거 침수상황 등을 고려하여 인명피해 위험성이 있는 곳*은 우선 지구 지정토록 하였으며(<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 개정 완료, ’23.5.23), 현장조사를 통해 침수(예상)지역이 누락되지 않도록 확인하고 있습니다.

* (개선) 침수신고현황, 재난지원금 지급내역, 침수흔적도 등

○ 또한 지정된 지구 중 국비 지원이 확정된 정비사업에 대한 사전설계검토를 통해 침수(예상)지역이 위 지침에 따라 적정하게 지정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미흡한 경우 보완토록 조치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22년 10월부터 12월까지(3개월) <취약지역 발굴단*>을 구성·운영하여 침수위험지구 지정이 필요한 지역 220개소를 발굴하고 지자체에 지구 지정토록 권고한 바 있습니다. 

* (구성) 5개반 64명(행안부 5, 시·도 34, 전문가 25명) / (운영) ‘22. 10. ~ 12월(3개월)  (절차) 위험지역 대상지 추출 → 현장확인 → 재해위험지구 지정 권고 등

○ 지정 권고된 지역이 침수위험지구로 지정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계획입니다.

□ 행안부는 올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에 따른 투자우선순위(정비사업계획 투자우선순위)대로 사업대상지가 선정되도록 조치하고 있으며,

○ 특히, ’24년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선정은 지침에 규정된 평가기준에 정량적 평가요소*를 확대 적용하여 시급한 지역이 우선 선정되도록 개선하여 시행 중에 있습니다.

* 재해위험도 등급, 인명피해 발생여부 등 평가 기준 마련

문의 :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 재난경감과(044-205-5151)

이전다음기사 영역

히단 배너 영역

요즘 정책소식을 매주 뉴스레터로 받아보세요! 구독신청하기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