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실수요자 중심의 항만배후단지 개발로 공공성 강화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해양수산부는 “실수요자 중심의 항만배후단지 개발로 공공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6월 14일 부산일보 <경실련 “해수부는 항만 민영화 방침 중단하고 해수청·항만공사(PA) 지방 이양해야”>에 대한 해양수산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항만배후단지 민간개발·분양방식 제도개선 연구용역 및 공청회에 대한 입장”이란 성명을 내고 항만 민영화 의지가 그대로 담겨있음을 주장하면서 해양수산부에 대해 “항만 민영화 방침을 중단”하고 해양수산청·항만공사(PA)를 지방으로 이양할 것을 촉구

[해수부 설명]

□ 해양수산부는 항만 민영화를 고려한 바 없으며, 항만배후단지 개발에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것은 투자재원을 다양화하여 배후단지를 적기 공급하고, 실수요자 등 입주기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항만물동량 및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 우리 부는 항만배후단지 민간개발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배후단지 공급과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안)* 준비중입니다.

* 민간사업자 직접사용 의무화(조성토지의 40%이상), 분양가 상한제 도입(총사업비의 15%이내), 매도청구 대상 토지 제한, 최초제안자 가점제 폐지 등

ㅇ 먼저, 민간투자자가 개발·분양하는 신규 제안사업은 배후단지 본래 기능에 부합하도록 민간사업자가 직접 사용하는 비율(조성부지의 40% 범위)을 의무화할 계획입니다.

ㅇ 아울러, 과도한 개발이익 방지를 위하여 산업단지 등 다른 제도 사례를 참조하여 분양가 상한제 도입 및 개발 부지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토지 매도청구권 제한 등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현재 민간개발 제안 후 협상이 중단된 사업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제도개선안이 마련된 이후 동일한 개선 내용을 바탕으로 협상을 재개할 계획입니다.

□ 항만배후단지 민간개발사업에 대한 제도 개선을 통해 항만물류업계의 수요에 맞추어 배후단지를 적기에 공급하는 한편, 항만시설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문의 : 해양수산부 항만국 항만투자협력과(044-200-5969)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