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복지부 “응급의료 전달체게 개편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 중”

2024.08.20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응급실 이용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정부는 앞으로도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8월 19일 세계일보 <코로나 때보다 더 열악, 뉴노멀 된 ‘응급실 뺑뺑이’> 등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기사에서,

 ○ 전공의 이탈로 인한 기존 인력의 업무 과중, 후속진료과 인력 부족 등으로 환자 미수용 사례가 증가하는 응급실 현황에 대해 보도

[복지부 설명] 

□ 최근 의료계 집단행동의 영향으로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일시적으로 진료 제한이 발생하였습니다. 

 ○ 다만, 이는 일부 기관(응급의료기관 총 408개소 중 5개소, 1.2%)에 해당하며, 응급실 완전 마비가 아닌 일부 기능 축소에 해당합니다.

 ○ 일시적으로 운영이 제한되었던 응급실도 신속히 정상 진료를 개시하였거나, 향후 정상화 예정입니다. 

    * (충북대병원, 속초의료원) 현재 정상 운영 중 (순천향천안병원, 단국대병원) 9월 정상화 예정 

 ○ 또한 전국 29개 응급의료권역마다 최소 1개소 이상의 권역 또는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진료 제한 없이 운영되고 있어, 권역 내 일부 의료기관에 진료 차질이 있더라도 타 병원에서 진료가 가능합니다.

    * (충북청주) 한국병원, 효성병원, 청주의료원 등 지역응급센터 8개소 운영 중 (충남천안) 천안충무병원, 천안의료원 등 지역응급센터 14개소 운영 중

□ 의료계 집단행동이 장기화되고, 의료진의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응급실 진료는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작년말 대비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1418명에서 1502명으로 증가하였으나, 그와 동시에 전공의 약 500여명이 이탈하면서 이전과 동일한 형태의 진료를 제공하기는 어렵습니다.

 ○ 다만 최근 응급실 방문 환자의 약 44%는 경증·비응급 환자로, 이 환자들을 동네 병·의원으로 적절히 분산할 경우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여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최근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추진과 마찬가지로 응급의료도 전공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 개편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이에 정부는 응급실 과부하를 해소하고,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 의료계 집단행동 이후에도 수 차례 비상진료대책(2.19, 2.28)을 발표하여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고, 응급의료 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 중증응급환자 수술 시 가산 확대(100→150%), 전문의 진찰료 100% 인상 등

    ** 권역센터에서 경증환자를 다른 기관으로 전원 시, 각 15만원 지급(예비비)

 ○ 광역상황실을 추가 설치(4 → 6개소)하여 전원 및 이송 조정을 지원하고, 광역상황실을 통해 전원을 받는 기관에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하여 조정 역할을 강화했습니다. 

 ○ 이에 더해 지역 의료기관 분포 등을 고려한 지역별 이송지침 마련(현재 17개 시·도 작성 완료, 지자체 협의 등 보완 중) 등을 통한 이송·전원체계 개선도 추진했습니다. 

□ 한편 최근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응급실 내원 환자 수는 평시 수준을 상회하며 진료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환자 분산 대책도 추가로 시행할 예정입니다.

    * 최근 응급실을 방문한 코로나19 환자의 대부분(95% 이상)은 중등증 이하에 해당하여 응급의료기관이 아닌 동네 병·의원에서도 진료 가능

 ○ 우선 공공병원 등에 야간·주말 발열클리닉을 운영하고, 코로나19 거점 병원으로 지정·운영된 경험이 있는 병원들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하여 코로나 환자를 적극적으로 입원치료 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경우,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270병상)과 긴급치료병상(436병상) 보유 병원 및 중앙·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등 감염병 관련 의료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대응해나갈 계획입니다.

□ 정부는 현재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응급의료 현장을 지키고 계신 의료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그러나 소위 응급실 뺑뺑이 등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은 새로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지난 30여년 간 의료개혁이 지체되면서 누적된 구조적 문제입니다.

 ○ 정부는 현재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필수의료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의료개혁을 차질 없이 완수해나가겠습니다. 

문의 :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응급의료과(044-202-2557)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