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기재부 "국채 이자비용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정부는 국채 이자비용을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8월 17일 이데일리·세계일보 등 <'나랏빚' 국채이자 올해 30조 넘는다>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 "정부의 국채 이자비용은 2020년 18조 6,426억원에서 지난해 28조 2,206억원으로 급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재부 설명]

□ 최근 국채 이자비용이 증가한 이유는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민생 안전망을 강화하고 경기 위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채 발행량을 확대했기 때문입니다.

□ 국채 발행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재정여건, 대외신인도 등에 힘입어 국채이자비용은 GDP 대비 1%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국채이자비용(%,GDP대비,평균): ('08~'12) 1.2  ('13~'16) 1.1  ('17~'21) 1.0  ('22~'24) 1.0

 ㅇ 무디스 등 해외 3대 신용평가사도 동 지표 등을 활용하여 정부의 부채 감당능력을 평가하고 있으며, 지난 4월 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한 바 있습니다.

□ 최근에는 추경예산 편성, 차환 발행물량 증가 등으로 국고채 발행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나, 외국인, 보험사 등의 강한 수요 기반을 바탕으로 금융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소화되고 있습니다. 

    * 국고채 금리(%) : <3년물>'24년말2.596, '25.6월말2.452, 7월말2.460, 8.14일2.404<10년물>'24년말2.855, '25.6월말2.805, 7월말2.785, 8.14일2.787

 ㅇ 내년에도 세계국채지수(WGBI) 추종자금 유입 등 외국인 수요 확대 등 감안시 양호한 수급여건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한편, 일시차입은 세입과 세출의 시기상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국회의 사전 승인을 받아 운영하는 제도로서

 ㅇ 확정된 예산의 차질없는 집행을 위한 수단으로 재정 확대와 무관하며, 반드시 연도 내 상환하여야 하므로 재정 수지나 국가 채무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국고금 관리법 제32조 제2항) 제1항에 따라 조달한 자금은 그 회계연도의 세입으로 상환하여야 한다. 

문의 :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고과(044-215-5110), 국채과(044-215-513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