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6월 고용동향

2025.07.16 공미숙 사회통계국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6월 고용동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1쪽 전체 요약입니다.

OECD 비교기준 15~64세 고용률은 70.3%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고, 청년층 고용률은 45.6%로 전년동월대비 1.0%p 하락하였습니다.

실업률은 2.8%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고, 청년층 실업률은 6.1%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습니다.

취업자는 2,909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만 3,000명 증가하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30대, 40대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고, 실업률은 40대, 30대 등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습니다.

2쪽입니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종사상지위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7만 8,000명, 임시근로자는 5만 8,000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일용근로자는 6만 3,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만 1,000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 5,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6만 4,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실업자는 40대, 20대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3만 2,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연로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4만 2,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은 7쪽 본문입니다.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를 살펴보면 2025년 6월 15세이상인구는 4,574만 3,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만 3,000명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인구는 2,991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5만 1,000명 증가하였습니다.

8쪽입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5.4%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다음은 9쪽, 취업자 동향입니다.

2025년 6월 15세이상 취업자는 2,909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만 3,000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3.6%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70.3%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습니다.

10쪽입니다.

연령계층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60세이상에서 34만 8,000명, 30대에서 11만 6,000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20대에서 15만 2,000명, 40대에서 5만 5,000명, 50대에서 5만 3,000명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고용률은 30대, 40대, 60세이상에서 상승하였습니다.

12쪽입니다.

직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숙련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13쪽입니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36시간미만 취업자는 662만 6,000명으로 6만 3,000명 증가하였고, 36시간이상 취업자는 2,206만 1,000명으로 13만 2,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1시간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14쪽, 실업자 동향입니다.

2025년 6월 실업자는 82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 2,000명 감소하였고, 실업률은 2.8%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습니다.

15쪽입니다.

연령계층별 실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40대, 20대 등에서 감소하였습니다.

교육정도별 실업률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대졸이상에서 0.3%p, 중졸이하에서 0.2%p 각각 하락하였습니다.

16쪽입니다.

과거 취업경험 유무별 실업자의 경우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4만 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00명 증가하였으나,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78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 4,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2025년 6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582만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만 2,000명 증가하였습니다.

18쪽입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연령계층별 '쉬었음' 인구는 60세이상, 50대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습니다.

구직단념자는 34만 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 2,000명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은 19쪽, 고용보조지표입니다.

2025년 6월 전체 고용보조지표3은 8.6%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고,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16.3%로 전년동월대비 0.8%p 상승하였습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고 질문 있으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이게 매달 반복되는 것 같긴 한데 건설업하고 제조업이 계속 줄고 있지 않습니까?

<답변> 네.

<질문> 배경, 반복된 얘기지만 배경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건설업과 제조업은 지금 건설업 같은 경우는 건설업은 14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고 제조업은 12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 흐름은 크게 변화가 없고요. 감소한 추세를 가지고 있는데, 관련 산업이 지금 좋지가 않기 때문에 고용에서도 나타나고 있고 이후 추이는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쉬었음', '쉬었음'의 시계열을 저희가 자료를 살펴봐야 될 것 같습니다. 지금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에는 시계열 자료까지는 있지 않아서, 20대와 30대가 궁금하신 겁니까? 20대와 30대. '쉬었음'의 20대, 30대 부분은, 시계열은 자료 찾아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청년층 고용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데요. 그런데 그거를 '쉬었음'과 취업준비자와 연계해서 보고 싶은데 '쉬었음' 같은 경우는 오히려 지난달에 감소했는데 취업준비자는 늘어난 것 같거든요. 그래서 이거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답변> 지금 청년층에서 비경제활동인구를 살펴보게 되면 '쉬었음'은 오르락내리락하긴 한데 이번 달은 좀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취업준비자는 지금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요, 전반적으로.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육아·가사 쪽은 많이 줄어들고 있다고 지난달에도 제가 말씀을 드렸고 그런 부분들은 지금 흐름은 유사하게 가고 있는데 그 달, 그 달 약간씩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걸로 보면 되겠습니다.

<질문> 그러면 청년층 고용률 하락의 원인 중 하나로 취업준비자가 조금 늘어나고 있는 상황도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답변> 그걸 원인이라고 해야 될지 결과라고 해야 될지 좀 애매하긴 한데 같이 연결돼 있긴 합니다. 청년층 같은 경우는 지금 계속 얘기하는 게 신규 채용 시에 경력직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고 또 수시 채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런 부분들이 청년층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어서 최근의 청년층의 고용률은 감소 추세에 있다, 그렇게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질문> 업종별로 농림어업이 이번에 많이 줄었는데 어떤 배경이 있을까요?

<답변> 농림어업은 지금 농촌의 구조조정, 구조 배... 구조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농림어업은 구조적인 감소가 있는 가운데 지난 4월에 한파와 대설이 있었죠. 그때 농림어업이, 농림어업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고, 이번 6월에도 강수량도 많았고 강수일자가 또 더 늘었기 때문에 그런 날씨 부분이 영향을 미쳐서 또 무급가족종사자 위주로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추가 질의 없으시면 총평하고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6월 고용동향 총평입니다.

취업자는 지난달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실업자는 감소한 반면 비경제활동인구는 증가하였습니다.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8만 3,000명 증가하였는데 산업별로 보면 보건복지, 전문·과학, 교육서비스에서 증가를 주도하였고, 지위별로는 상용직, 임시직에서, 연령별로는 60세이상, 30대에서 증가하였습니다.

계절조정취업자는 전월대비 6만 4,000명 감소하였습니다.

실업자는 40대, 청년층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3만 2,000명 감소하였고, 비경제활동인구는 60세이상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4만 2,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이상 브리핑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