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아이디로, 디지털원패스’
 |
내가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는 안면인식 인증.(출처=전자정부 간편인증 앱) |
직접 주민센터에 가지 않아도 내 집에서, 사무실에서 각종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는 시대가 온지 오래다. 지금 어지간한 민원서류들은 온라인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대부분 발급이 가능할 정도로 편리해졌고 정부 또한 국민들이 최대한 ‘덜 불편하게’ 온라인 환경 개선, 앱 개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각종 민원서류 발급을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피부에 좀 더 직접적으로 와닿는 것은 바로 ‘로그인 방식’이다. 보안성이 높다고 알려진 ‘공인인증서 방식’은 여전히 복잡하고 까다로운 로그인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
디지털원패스, 다양한 전자정부 서비스를 하나의 아이디로!(출처=디지털원패스 누리집) |
정부는 최근 공인인증서를 대체할만한 ‘디지털원패스’라는 인증 서비스를 개발했다. 디지털원패스는 하나의 아이디로 본인이 선택한 인증수단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여러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증 서비스다.(참고=디지털원패스 누리집)
.jpg) |
디지털원패스는 인증수단도 다양하고 여러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출처=디지털원패스 누리집) |
디지털원패스의 가장 큰 강점은 아이디 하나로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이트마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하기 때문에, 각 사이트별로 아이디가 달라 ‘아이디 찾기’ 등으로 시간을 허비하고 애를 먹은 경우가 한두번이 아닐 것이다. 이런 고생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jpg) |
다양한 인증수단. 자신에게 편리한 수단을 택하면 된다.(출처=디지털원패스 누리집) |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증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비밀번호, 문자메시지 등을 포함하여 공인인증서, 모바일 핀/패턴, 지문인식과 최근에 나온 안면인식까지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최신 인증 트렌드를 반영한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겠다.(출처=디지털원패스 누리집)
자, 그렇다면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하게, 디지털원패스로 접속할 수 있는 전자정부 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위택스(www.wetax.go.kr)’를 살펴보도록 하자. 위택스는 온라인으로 지방세를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는 전자정부 서비스다. 기존에는 공인인증서 로그인 방식을 취했었는데, 앞으로 PC와 스마트폰 앱에서 디지털원패스로 접속할 수 있게 됐다.
.jpg) |
위택스 로그인 방식에 디지털원패스가 추가됐다.(출처=위택스 앱) |
디지털원패스로 이런 세금 관련 정보까지도 확인할 수 있는지 직접 앱(스마트 위택스)을 설치해보기로 했다. 디지털원패스로 최초 로그인을 할 때, 위택스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말기 바란다.
 |
디지털원패스 로그인 후, 위택스가 제공해 주는 여러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출처=위택스 앱) |
디지털원패스는 스마트폰으로 인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전자정부 간편인증’이라는 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이 앱을 실행해서 나에게 맞는 인증을 거치면 된다.
위택스 앱은 부번호만 알아도 조회, 세금납부가 가능한 항목을 눈에 띄는 곳에 배치했고, 나의 환급금 간단 조회와 세액공제 혜택 등 납세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메뉴를 중간에 둠으로써 이용자들을 배려한 흔적이 보였다.
 |
정부24 누리집 메인화면. 화살표 부분을 클릭하면 디지털원패스로 로그인할 수 있다.(출처=정부24 누리집) |
이제 많은 국민들이 알고 있을 정부24. 정부가 정부24 누리집에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게 피부로 느껴질 정도로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증명서 열람이나 발급은 정부24 누리집에서 해결할 수 있다.
.jpg) |
정부24의 자주 찾는 서비스. 참 유용한 곳이다.(출처=정부24 누리집) |
기본적으로 주민등록등/초본과 지방세 납세증명, 전입신고, 병적증명서, 소득금액증명, 운전면허정보 조회, 해외직구시 필요한 개인통관 고유부호 조회 등 누구나 한번쯤은 이용해봤을 것이다. 이곳에서도 공인인증서 대신 디지털원패스로 로그인 및 활용이 가능하다.
나도 얼마 전에 이사를 위해 주민등록등본 발급과 전입신고를 정부24 누리집에서 진행했는데, 디지털원패스로 아주 편리하고 빠르게 서류를 인쇄할 수 있었다.
 |
디지털원패스 인증 화면.(출처=디지털원패스) |
이밖에도 디지털원패스를 통해 한국교통안전공단 누리집(https://www.kotsa.or.kr/mbs/inqFrmLogin.do), 군 복무를 마친 남자들은 꼭 확인해야 하는 예비군 누리집(https://www.yebigun1.mil.kr/)을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jpg) |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도 디지털원패스 로그인 가능!(출처=한국교통안전공단 누리집) |
.jpg) |
예비군 누리집에서도 가능! 공인인증서 로그인보다 위쪽에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출처=예비군 누리집) |
디지털원패스는 앞으로 정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잘 제시해주고 있는 서비스라는 생각이 든다.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증방식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디지털원패스로 접속해도 공인인증서 로그인까지 해야 하는 서류들이 있는데 디지털원패스의 보안성이나 기술력이 좀 더 강화돼 공인인증서까지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발돋움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전자정부 서비스를 넘어 공인인증서를 널리 활용하는 은행 등 금융기업에도 디지털원패스가 잘 스며들면 활용성이 높아질 것 같다.
제 17-1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전 형입니다. 외교, 통일, 그리고 박사과정인 한국어교육에 깊은 관심이 있습니다. 유익한 정책이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