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2025.07.30 김재훈 노동시장조사과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안녕하십니까? 노동시장조사과장 김재훈입니다.

2025년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고용 부문입니다.

1페이지에 있는 픽토그램은 참고를 해주시고요, 2페이지입니다.

2025년 6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의 잠정 결과는 2,027만 2,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5,000명 감소하였습니다.

종사상지위별로 보시게 되면 상용근로자는 1만 5,000명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8,000명 감소, 기타종사자는 2만 2,000명 감소하였습니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시게 되면 300인 미만 사업장은 4만 4,000명 감소, 300인 이상 사업장은 2만 9,000명 증가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산업별로 보시게 되면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부동산업 순으로 나타났고, 감소한 산업은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조업의 경우에는 9,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페이지입니다.

제조업을 조금 자세히 들여다보면 증가한 산업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순으로 나타났고, 감소한 산업은 섬유제품 제조업,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 5페이지 노동 이동 부문입니다.

입직자는 6만 4,000명 감소하였고, 이직자는 5만 5,000명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입직률은 4.5%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하였습니다. 이직률은 4.7%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하였습니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시게 되면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6만 5,000명 감소, 이직자는 5만 2,000명 감소하였습니다.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는 2,000명 증가, 이직자는 4,000명 감소하였습니다.

입·이직 사유별로 보시게 되면 입직 중 채용은 6만 6,000명 감소, 기타 입직은 2,000명 증가하였습니다.

이직자 중 자발 이직은 6,000명 감소하였고, 비자발 이직은 5만 7,000명 감소하였습니다.

여기까지 고용 부문 말씀을 드렸고요, 다음은 근로실태 부문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4페이지, 근로실태 부문 픽토그램은 참고를 해주시고요, 15페이지입니다.

2025년 5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전체 근로자 임금총액은 391만 6,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5% 증가하였습니다.

종사상지위별로 보시게 되면 상용근로자는 2.6%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5.3% 감소하였습니다.

상용근로자의 임금을 내역별로 보시게 되면 정액급여는 2.6% 증가, 초과급여는 4% 증가, 특별급여는 1.9% 증가했습니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시게 되면 300인 미만 사업체인 경우는 2.3%, 증가, 300인 이상인 경우는 2.6% 증가했습니다.

산업별로 보시게 되면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순으로 나타났고,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7페이지, 실질임금 부문입니다.

2025년 5월 물가 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336만 8,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0.5% 증가하였습니다.

18페이지, 근로시간입니다.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7시간으로 6.3시간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대비 1일 감소에 따름입니다.

종사상지위별로 보시게 되면 상용근로자는 6.9시간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3.7시간 감소하였습니다.

19페이지, 사업체 규모별로 보시게 되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경우는 6.3시간 감소, 300인 이상 사업체는 6.5시간 감소하였습니다.

산업별로 보시게 되면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수도·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제조업 순으로 나타났고, 짧은 산업은 건설업, 교육 서비스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 브리핑은 마쳤는데요. 저희가 혹시 이 참고자료를 한 장씩 또 나눠드렸거든요. 그거 한번 잠깐 봐주시겠습니까? 어제, 오늘 저한테 질의가 많이 들어와서 부가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고용 관련한 조사는 행정통계까지 합쳐서 총 3개입니다. 그래서 사업체노동력조사에서 나오는 종사자 수, 오늘 발표드린, 그다음에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취업자 수, 그다음에 저희 부에서 고용보험 DB를 이용한 고용행정통계 가입자 수, 이 세 가지가 발표되고 있는데요. 각각의 포괄 범위가 달라서 총량에는 차이가 보여지는데 전반적인 추세는 유사합니다. 그 밑에 있는 그래프를 보시게 되면 추세적으로는 유사하다, 이렇게 보여지는 거고요.

그 밑에 포괄 범위 쪽을 보시게 되면 경제활동인구조사는 노동의 공급 측면에서 조사를 하는 겁니다. 가구조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취업자 수라는 걸 발표하고요. 물론 실업자도 발표를 합니다. 그 취업자 안에 보시게 되면 임금근로자하고 비임금근로자를 나누어서 토털해서 취업자 수를 발표하고 있고요.

그 밑에 노동력 쪽을 보시게 되면 저희 쪽에서는 자영업자 쪽은 조사하지 않습니다. 왜 그러냐면 그거는 저희가 노동행정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 밑의 쪽에 보시면 임금근로자도 상용, 임시일용 구분을 하고 '기타'라는 부분이 저희는 있어요. 기타는 바로 특고하고 그다음에 무급종사자들이 포함된 게 기타 부분입니다. 그리고 고정시설이 없는 사업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 밑에 고용보험 쪽은 임금근로자 안에서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들만 뽑아서 이걸 가지고 고용동향을 알아보는 조사가 되겠습니다. 약간의 다 차이가 있어서 이거에 대한 오해가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일단,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의 특징이라고 할 만한 게 뭐가 있을지 그거하고, 전반적으로 6월 노동자... 노동력 상황을 총평 하시자면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궁금하거든요.

<답변> 일단, 6월 고용 상황 같은 경우는 이게 평달입니다. 특별한 일이 없는 달이거든요. 그래서 지난달과 거의 유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보여지고요.

총평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종사자 숫자는 지금 감소 추세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이 감소가 특별하게 건설업 그다음에 도·소매업 그다음에 숙박·음식점업 쪽의 감소에 따름이 있었다. 그런데 이건 이번 달만의 문제는 아니... 특징은 아니었고 이건 지속되어 왔었다, 라고 보여지고 있고요.

그다음에 임금하고 근로시간 쪽을 말씀드리면 임금은 실질임금이 마이너스였던 적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상당히 안정이 됐다, 이렇게 보여지고요. 근로시간은 감소 추세는 유지되고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원래... 구조적인 건 아니고요. 지금 4.5일제는 아직 시행이 되지 않았으니까 그런 효과는 있는 것 같지는 않고요. 근로시간 감소는 계속 추세적으로 감소했었으나 이번 달에는 특별히 또 월력상 근로일수가 하루 감소에 따름이라서 조금 더 커 보이는 겁니다. 근로시간 감소는 추세적으로 계속 있었습니다. 지금도 계속 감소되고 있고요.

<질문> 올해 들어서 종사자 수 감소세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저번 5월에 직전 조사에서 감소세 멈췄다가 6월에 다시 감소세로 접어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특별히 영향을 준 게 따로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이게 지금 저희들이 판단하기에는 감소 폭이 지금 1페이지 픽토그램 쪽을 잠깐 한번 보시면 저희가 감소한 산업을 보고 있는데요. 주된 게 건설, 도·소매, 숙박·음식점업입니다. 건설이 지금 계속 경기가 안 좋아서 얘가 확... 그러니까 이 건설이 회복되어야지만 이것도 같이 올라갈 거라고 보여지고는 있어요.

그리고 숙박·음식점 같은 경우나 도·소매업 같은 경우는 이제 저희 정부에서 쿠폰도 발행하고 그랬기 때문에 조금은 좋아질 여지는 보여집니다. 다만, 건설 쪽은 아직은 안 좋은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거고요.

그다음에 감소하다가 지난달에 멈췄다가 다시 감소한다는, 이게 fluctuation이 존재하는 거죠. 오르락내리락이 존재하는 정도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크게 떨어지거나 그런 건 아니고 1만 5,000명 정도 되니까, 시그널이 마이너스일 뿐이지 그 사이즈는 미비한 정도죠.

<답변> (사회자) 추가 질문 있으십니까? 없으시면 오늘 브리핑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